상암·양재 수소충전소 석달 버티기

입력 2019-07-21 22:23
상암 수소충전소 전경. 연합뉴스

‘과포화’ 불만에 시달리고 있는 서울 수소충전소들이 새 충전소 2곳이 설치되는 10월까지 ‘버티기 작전’에 돌입했다. 차량 당 수소 충전량을 제한하고 수소 생산을 늘리는 임시방편이다.

서울시는 수소충전소 과포화 대책을 21일 발표했다. 당분간 충전소 인력을 보강해 수소 생산량을 늘리고, 그래도 모자란 부분은 일단 수소 차량끼리 골고루 나눠쓰자는 내용이다.

서울시는 우선 상암충전소의 수소 생산량을 늘린다. 근무 인력을 늘려 그동안 주 1회 48시간 동안 수소 62㎏을 생산하던 것을 주중 매일 120시간 동안 총 315㎏ 생산한다. 양재충전소는 22일부로 차량당 최대 충전 가능량(압력)을 낮춘다. 완전충전을 제한하고 반만 충전할 수 있게 한다는 뜻이다. 일부 수소차 운행자들은 반 충전으로는 부족하다고 반발한다.

서울 시내 수소충전소는 상암충전소와 양재충전소 2곳 뿐이다. 서울 이외 수도권에는 수소충전소가 아예 없다. 서울 밖 지역의 수소차까지 서울로 몰리면서 부담이 가중됐다.

오는 8월 말 여의도 국회충전소가, 10월 강동구 상일충전소가 들어서야 수소차 운전자들의 숨통이 트일 전망이다. 서울시는 국회·상일 충전소가 수소차 840대의 충전 문제를 해결할 것으로 기대한다. 840대는 7월 기준 수도권 보급 수소차(340대)를 크게 웃돈다. 일단 10월까지만 버티면 ‘수소 충전 대란’을 피할 수 있게 되는 셈이다.

서울시는 10월 국회·상일충전소가 운영되면 낙후된 상암 양재충전소를 재정비할 계획이다. 기존 설비를 철거 교체해 충전압력과 설비용량을 늘려 주말까지 충전소를 운영한다. 아울러 무료 운영을 유료 운영으로 전환한다.

서울시는 또한 장거리 이동차량을 위해 현재 운영 중인 고속도로 충전소 3개소(안성(상·하) 여주휴게소) 외에도 각 지자체에서 구축하고 있는 수소충전소가 조기 준공될 수 있도록 이해관계자들과 협의를 지속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2022년까지 서울 시내 수소충전소 총 11개소 설치 운영할 것”이라며 “수소차 이용 시민들이 충전하는 데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