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개특위원장으로 돌아온 홍영표… ‘결자해지’ 할까

입력 2019-07-19 04:02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위원장으로 내정된 홍영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8일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있다. 김지훈 기자

원내대표 임기 막판 선거법 개정안을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에 올린 홍영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8일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위원장으로 돌아왔다. 홍 의원은 “서둘러 여야 간사들을 만나 법안 처리에 속도를 내겠다”고 했다. ‘결자해지론’을 앞세워 홍 의원을 설득한 이인영 원내대표는 “실권을 가지고 협상에 임할 수 있는 최적임자라 생각한다”며 내정 배경을 설명했다.

앞서 민주당은 지난달 자유한국당과 국회 정상화 협상 과정에서 정개특위와 사법개혁특별위원회 위원장을 각각 한 자리씩 맡기로 합의했다. 이후 민주당은 사개특위를 맡아 검경 수사권 조정,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설치 등의 사법 개혁에 힘을 실어줄지, 아니면 정개특위를 맡아 한국당을 제외한 야 3당과의 패스트트랙 공조를 유지하면서 선거 개혁에 더 적극적으로 나설지를 놓고 내부 논쟁을 벌여 왔다. 한 달여의 장고 끝에 민주당은 이날 정책조정회의에서 사개특위 대신 정개특위를 맡기로 결정했다. 문재인정부의 최우선 국정과제인 사법 개혁도 시급하지만, 패스트트랙 공조에 나선 바른미래당과 민주평화당, 정의당과의 연대를 유지하는 게 향후 개혁 법안 처리 등에 있어 더 유리할 것으로 판단한 것이다.

홍 의원은 내정 후 기자간담회를 갖고 특위 운영 방향을 소개했다. 그는 “패스트트랙을 두고 여야 간에 굉장히 큰 진통을 겪었기 때문에 다른 분이 위원장을 맡아 좋은 결과를 냈으면 좋겠다는 게 개인적인 바람이었다”며 “제가 그간의 여러 논의 과정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합의를 도출하는 데 역할을 할 수 있지 않겠느냐는 당 안팎의 말씀이 있었다”며 위원장직 수락 이유를 말했다.

이어 “선거법이야말로 여야 간 합의로 처리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며 “다음 주부터라도 정개특위를 빨리 가동시켜 본격적인 논의를 시작했으면 한다”고 했다. 아울러 “한국당이 선거법 개정에 의지를 갖고 협상에 임해줬으면 좋겠다. 선거법에 대해 좀 더 열린 자세로 각 당이 진솔한 입장과 의지를 갖고 참여해 달라”고 당부했다. 특위 시한은 8월 31일로, 두 달도 채 남지 않은 상황이다.

홍 의원은 패스트트랙안을 고집하지 않겠다는 뜻도 밝혔다. 그는 “국회법 절차에 따라 제출된 안이기 때문에 그 안이 중심이 돼야 한다”면서도 “얼마든지 합리적 대안이 있고 현실적 합의 방안이 있다면 고집할 생각은 없다”고 말했다.

이가현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