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미국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 배치 문제를 두고 원칙적 입장을 견지하며 갈등을 노출했다. 하지만 미세먼지와 미·중 갈등 등 민생 경제 분야에 있어서는 협력 기조를 재확인했다.
시 주석은 27일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정상회담에서 “사드 배치 문제와 관련해 해결 방안들이 검토되길 바란다”고 요청했다고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이 밝혔다. 이에 문 대통령은 “그렇기 때문에 비핵화 문제가 해결돼야 한다”고 답했다. 그동안 양국은 사드 배치와 이에 따른 중국의 경제 보복으로 지난 2년여간 갈등을 겪어 왔다. 이번에도 시 주석이 직접 사드 배치를 철회할 것을 요청했지만 문 대통령은 비핵화와 연동시키겠다는 원칙적 입장을 밝힌 것이다.
고 대변인은 “문 대통령은 사드 문제는 비핵화가 풀려야 해결될 수 있는 부분이라는 취지로 언급한 것”이라며 “반드시 비핵화가 선행돼야 한다는 건 아니고, 연동될 수 있는 문제라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시 주석은 미·중 갈등의 촉매제 역할을 하고 있는 화웨이 사태 역시 에둘러 언급했다. 고 대변인은 “화훼이를 콕 집어 말하진 않았고 5G(5세대 이동통신)와 관련해서 시 주석이 원론적인 이야기를 했다”며 “문 대통령은 이를 청취했고, 특별한 답은 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문 대통령은 미·중 무역 갈등에 대해서도 “미·중은 한국에 있어 1~2위 교역국으로 모두 중요하다”며 “어느 한 나라를 선택하는 상황에 이르지 않기를 바란다. 원만히 해결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양 정상은 미세먼지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했다. 시 주석은 “중국은 환경보호를 위해 (과거보다) 10배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앞으로도 적극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도 “한·중 양국민 모두 이 문제를 심각하게 생각하고 있으니 정부가 협력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만으로도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고 화답했다.
문 대통령은 최근 화살머리고지 유해발굴 과정에서 중국군으로 추정되는 다수 유품이 발견된 사실을 전하고, 확인되는 대로 중국에 송환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강준구 기자, 오사카=박세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