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시진핑 사드 갈등 노출

입력 2019-06-27 21:34 수정 2019-06-27 23:53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27일 일본 오사카 웨스틴 호텔에서 정상회담에 앞서 악수를 하고 있다. 뉴시스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미국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 배치 문제를 두고 원칙적 입장을 견지하며 갈등을 노출했다. 하지만 미세먼지와 미·중 갈등 등 민생 경제 분야에 있어서는 협력 기조를 재확인했다.

시 주석은 27일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정상회담에서 “사드 배치 문제와 관련해 해결 방안들이 검토되길 바란다”고 요청했다고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이 밝혔다. 이에 문 대통령은 “그렇기 때문에 비핵화 문제가 해결돼야 한다”고 답했다. 그동안 양국은 사드 배치와 이에 따른 중국의 경제 보복으로 지난 2년여간 갈등을 겪어 왔다. 이번에도 시 주석이 직접 사드 배치를 철회할 것을 요청했지만 문 대통령은 비핵화와 연동시키겠다는 원칙적 입장을 밝힌 것이다.

고 대변인은 “문 대통령은 사드 문제는 비핵화가 풀려야 해결될 수 있는 부분이라는 취지로 언급한 것”이라며 “반드시 비핵화가 선행돼야 한다는 건 아니고, 연동될 수 있는 문제라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시 주석은 미·중 갈등의 촉매제 역할을 하고 있는 화웨이 사태 역시 에둘러 언급했다. 고 대변인은 “화훼이를 콕 집어 말하진 않았고 5G(5세대 이동통신)와 관련해서 시 주석이 원론적인 이야기를 했다”며 “문 대통령은 이를 청취했고, 특별한 답은 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문 대통령은 미·중 무역 갈등에 대해서도 “미·중은 한국에 있어 1~2위 교역국으로 모두 중요하다”며 “어느 한 나라를 선택하는 상황에 이르지 않기를 바란다. 원만히 해결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양 정상은 미세먼지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했다. 시 주석은 “중국은 환경보호를 위해 (과거보다) 10배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앞으로도 적극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도 “한·중 양국민 모두 이 문제를 심각하게 생각하고 있으니 정부가 협력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만으로도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고 화답했다.

문 대통령은 최근 화살머리고지 유해발굴 과정에서 중국군으로 추정되는 다수 유품이 발견된 사실을 전하고, 확인되는 대로 중국에 송환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강준구 기자, 오사카=박세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