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전쟁 전사자 중 수습 못한 12만3000여명… 유가족 상처 치유 위해 유해발굴 구슬땀

입력 2019-06-27 20:49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요원들이 흰색 마스크에 장갑을 착용한 채 6·25전쟁 전사자 유해를 발굴하고 있는 모습.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제공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국유단)은 6·25전쟁에 참전했다가 아직 가족의 품으로 돌아가지 못한 전사자들을 발굴하는 임무를 맡고 있다. 지난해 체결된 9·19군사합의를 통해 지난 4월부터는 강원도 철원 비무장지대(DMZ) 화살머리고지 남측 지역에서 유해발굴 작업도 진행 중이다.

국유단에 따르면 6·25전쟁으로 16만3000여명의 전사자와 실종자가 발생했다. 전쟁 직후 3만여명은 국립현충원에 안장됐으나 13만3000여명은 곧바로 수습되지 못했다.

현재까지 국유단은 13만3000여명 중 1만여구를 발굴해 132명의 신원을 확인했다. 지금도 12만3000여명은 이름 모를 산야에 묻혀 있다. 고지전이 많았던 6·25전쟁 특성상 유해발굴은 대부분 산악 지역에서 이뤄진다. 유해 1구를 발견하기까지는 평균 200~300여개 지점의 땅을 파봐야 한다.

유해 발굴에 이어 신원 확인이 이뤄지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 가장 확실한 신원확인 방법은 발굴된 유해에 대한 정밀감식 결과를 토대로 유족들의 유전자(DNA) 데이터와 비교·분석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다. 그런데 유가족 DNA 시료가 확보돼 있지 않다면 이런 절차를 거칠 수 없다. 신원확인에 결정적 단서가 될 만한 유품이 유해와 함께 발굴되는 경우는 드물다.

국유단은 신원확인 시 최대 1000만원 포상금을 유가족 대표에게 지급하는 제도를 도입하는 등 유족 DNA 시료 확보를 위한 노력에 힘을 쏟고 있다. 국유단 관계자는 “가까운 보건소나 군 병원, 예비군동대를 방문하면 시료채취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유해발굴 사업은 2000년 6·25전쟁 50주년 기념사업으로 시작됐다. 이후 유해발굴사업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2007년 국유단이 창설됐다. 국유단은 유엔군 전사자 18구, 중국군 유해 599구를 발굴해 송환한 바 있다.

국유단 관계자는 27일 “국유단은 전사자들의 넋을 위로하고 반세기 넘는 세월 고통받았을 유족들의 상처와 아픔을 치유해 드리는 데 더욱 힘을 쏟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