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가 세계 최대 동영상 공유 사이트 유튜브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 유튜브는 미성년 이용자의 정보를 수집한 혐의를 받고 있다. 유튜브, 틱톡 등 IT업체들은 최근 업계 주 소비층으로 떠오른 어린이 이용자의 정보를 무분별하게 수집해 비판받았다. FTC가 이런 사업 관행에 제동을 건 것이다.
유튜브는 어린이 사생활 보호 법률 위반 혐의로 FTC의 조사를 받고 있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1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앞서 소비자단체와 사생활 옹호 단체는 유튜브가 스트리밍 동영상 서비스를 이용하는 어린이들의 정보를 부적절하게 수집했다며 유튜브를 고발했다. 혐의가 입증되면 유튜브는 벌금을 물고 사업 관행도 개선해야 한다.
1998년 제정된 미국의 아동 온라인 사생활 보호법(COPPA)은 13세 미만 이용자들의 정보를 추적하거나 이들을 표적으로 한 활동을 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미성년자의 개인정보가 무방비 상태로 유출돼 악용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 FTC는 최근 20년간 급격한 기술 변화에 적응하지 못해 아동 사생활 보호법 집행에 미흡했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번 조사는 아동 사생활 보호법을 개선하는 신호가 될 수 있다고 WP는 전했다.
미국 소비자단체는 아동 정보 수집이 유튜브만의 문제가 아니라고 지적한다. 인스타그램, 스냅챗 등 소셜미디어는 물론 포트나이트 같은 인기 게임들도 미성년자 정보를 수집한다는 것이다. FTC는 지난 2월 무서운 속도로 유튜브를 추격하고 있는 중국 동영상 공유 애플리케이션 틱톡에 과징금 570만 달러(약 66억원)를 부과하기도 했다.
유튜브를 소유한 구글은 개선안을 고심하고 있다. 구글은 2015년 탄생한 ‘유튜브 키즈’에 어린이 영상물을 집중적으로 게재하는 것을 논의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이 전했다. 이에 대해 유튜브 내부에서는 꺼리는 분위기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어린이를 위한 영상이 광고매출에 차지하는 비중이 큰 상황에서 매출 감소로 이어질 것이란 우려 때문이다.
어린이 대상 영상에서 다음 영상 자동재생 시스템을 없애는 방안도 고려되고 있다. 유튜브는 기존 영상 내용을 기준으로 다음 영상을 추천해 자동 재생하는 시스템을 갖췄는데, 이 알고리즘이 부적절한 영상을 추천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유튜브 주력 소비층은 점점 더 어려지는 추세다. 동요나 만화, 장난감을 소개하는 영상이 특히 인기를 끈다. 미국의 8살 소년 라이언이 운영하는 장난감 소개 채널 ‘라이언 토이스리뷰’는 구독자가 1970만명이나 된다. 새 장난감 포장을 뜯고 조립해 시연하는 단순한 영상으로 지난 한 해 2200만 달러(약 244억원)를 벌었다. 미국의 비영리 연구조사기관 퓨리서치센터의 지난해 조사에 따르면 11세 이하의 미국 어린이 중 81%가 유튜브를 한 차례 이상 시청했다. 3명 중 1명은 유튜브를 정기적으로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부모 5명 중 4명이 자녀의 유튜브 시청을 허락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택현 기자 alle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