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60년이면 생산가능연령(15~64세) 국민 100명이 103.4명의 일할 수 없는 국민을 부양해야 한다는 유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부양 부담으로 본다면 세계 최고 수준에 올라선다.
유엔 경제사회국(DESA)은 각국의 인구 전망을 망라한 ‘2019년 세계 인구 전망’을 17일(현지시간) 공개했다. ‘총부양비’ 전망 추계가 핵심이다. 총부양비란 15~64세 인구 100명이 부양해야 할 비생산연령 인구를 말한다. 0~14세와 65세 이상이 이에 해당한다.
한국의 총부양비는 2055년에 96.6명으로 추계됐다. 스페인(97.1명)이나 일본(99.4명)과 비교해 낮은 수준이다. 하지만 5년 뒤인 2060년이면 상황이 달라진다. 103.4명으로 점점 더 부양해야 할 이들이 늘어난다. 생산가능인구 한 명이 한 명 이상의 일하지 않는 이들을 먹여살려야 하는 것이다.
2060년 기준으로 총부양비가 100명을 넘는 국가는 한국이 유일하다. 저출산 기조를 감안하면 상황은 더 악화될 수도 있다. 유엔은 한국의 총부양비가 2065년에는 109.2명, 2080년에는 110.3명으로 정점을 찍을 것으로 내다봤다.
유엔은 한국의 인구 감소 속도도 더 빨라질 것으로 추계했다. 중위 추계를 기준으로 했을 때 한국의 총인구는 2024년에 5134만7000명으로 정점을 찍는다. 2025년부터는 내리막을 달리게 된다.
세종=신준섭 기자 sman321@kmib.co.kr
“한국, 인구 부양부담 2060년 세계 최고”
입력 2019-06-18 2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