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유학 금지 시사… ‘불똥’ 튄 미국 대학들 위기감 고조

입력 2019-06-05 19:19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 여파가 미국 대학으로 확산되고 있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 대학들은 중국 유학생들이 급감할 경우 수입이 크게 줄어들 것을 우려하고 있다고 WP는 전했다. 중국 수출길이 막힌 ‘팜 벨트’(농업지대)의 농민에 이어 미국 대학들도 미·중 무역전쟁의 피해자로 부상하는 상황이다.

2017∼2018학년도 미국 내에서 유학 중인 중국인 학생 수는 36만명 이상으로 추산된다. 9년 전보다 3배나 늘어난 수치다. 중국 유학생이 내는 등록금은 미국 대학들의 주요 수입원이 됐다.

예기치 않게 미·중 무역전쟁의 불똥이 중국 유학생 문제로 번졌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 유학생들이 미국 명문대를 졸업한 이후 각종 연구소에 들어가 정보를 도둑질하고 있다”며 유학 비자를 제한하는 방법으로 중국 유학생에 대한 통제에 들어갔다.

이에 중국 교육부는 지난 3일 ‘2019년 제1호 유학 경계령’을 발표하면서 맞대응에 나섰다. 중국 교육부는 “최근 유학생들의 미국 비자 발급과 관련해 비자 유효 기간이 축소되거나 비자 발급을 거절당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면서 중국도 미국 유학을 금지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울상이 된 것은 미국 대학들이다. 조지워싱턴대 관계자는 “수백명의 중국 유학생들은 전체 외국인 학생의 절반을 차지한다”며 “이들은 학교 재정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믿을 수 없이 훌륭하다”고 중국 유학생을 치켜세웠다. 중국 유학생들이 줄어들 경우 캠퍼스 주변의 식당과 마트, 옷가게, 서점 등도 직격탄을 맞을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대학이 돈 걱정만 하는 것은 아니다. 남부 명문대인 에머리대 관계자는 “우리는 1990년대부터 중국의 우수한 학생들을 뽑아 왔다”면서 “이들은 학문적으로 큰 기여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익명을 요구한 국무부 관계자는 WP에 “중국 유학생들에 대해 비자 발급을 거부한다는 근거 없는 주장이 확산되고 있다”면서 “합법적인 교육 활동을 위해 미국에 오는 중국 유학생들과 학자들을 환영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미·중 유학생 전쟁이 어떤 결과로 끝날지 현재로선 예상하기 힘들다.

워싱턴=하윤해 특파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