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장애인 등 독립생활 ‘지원주택’ 매년 200가구 공급

입력 2019-06-05 22:13
서울시는 저소득 취약계층 장애인과 노숙인, 정신질환자, 어르신 등이 시설에서 나와 사회와 섞여 살면서 의료·복지 등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주택’을 본격적으로 공급하겠다고 5일 밝혔다.

올해 216가구를 시작으로 2022년까지 매년 200가구씩 총 816가구의 지원주택을 공급할 예정이다. 지원주택은 서울주택도시공사에서 다세대주택 등을 매입해 입주자 특성에 맞게 리모델링을 해 공급한다. 임대료는 시세의 30% 수준으로 하되 월 임대료와 보증금 비율은 입주자 특성을 감안해 책정할 것으로 보인다. 임대 기간은 최장 20년까지다.

시는 지원주택을 공급하면서 노숙인이나 발달장애인 등 대상별 특성에 맞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복지기관을 지정해 은행 업무와 같은 일상생활 지원부터 투약관리 등 의료서비스, 심리정서 치료까지 맞춤형으로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서울시는 또 기본계획부터 입주자 선정 기준, 서비스 유형 등에 대해 심의·자문을 담당할 ‘지원주택 운영위원회’를 관련 분야 전문가들로 구성해 운영한다.

류훈 서울시 주택건축본부장은 “지원주택 물량을 늘리기 위해 매입 임대주택뿐 아니라 공공임대주택이나 사회주택으로 공급 범위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