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무부가 북한의 대북제재 위반 활동에 대해 제보할 경우 최대 500만 달러(약 59억원)의 포상금을 약속했다고 미 자유아시아방송(RFA)이 5일 보도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북한에 대화는 제안하면서도 대북 압박은 계속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미 국무부가 운영하는 테러 정보 신고·포상 프로그램인 ‘정의에 대한 보상(Rewards for Justice)’은 최근 홈페이지 ‘북한’란에 포상금 지급을 내건 포스터를 게시했다. 이번 포스터는 영문판과 중문판(간체·번체)으로 제작됐다. 특히 중문판이 만들어진 이유는 중국이 직간접적으로 대북제재 위반 활동에 관여된 게 아니냐는 의구심이 담긴 것으로 분석됐다. 미 국무부는 중국어를 할 수 있는 사람을 제보자로 활용하겠다는 뜻을 감추지 않았다.
포스터는 “국제 제재에도 불구하고 북한은 핵·미사일 프로그램 자금을 마련하기 위한 불법 활동에 지속적으로 관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북한의 불법 활동으로는 선박을 통한 석유·석탄의 해상 환적, 선박 추적을 막기 위한 데이터 조작, 돈세탁 등이 거론됐다.
포스터는 그러면서 “미국 정부는 북한 관련 불법 금융활동을 중단시킬 정보에 최대 500만 달러를 사례금으로 지급하고 있다”고 밝힌 뒤 제보를 받을 이메일 주소를 게시했다.
미 국무부는 이어 해외 취업으로 북한 정부와 노동당에 막대한 이익을 가져다주는 북한 시민과 북한이 국제 제재로 금지당한 무역에 관련된 전 세계의 기업·개인에 대한 정보에도 포상금을 지급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 북한의 무기 판매와 선적, 북한으로 들어가는 사치품에 관해 제보하는 것도 포상금 지급 대상임을 분명히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의 포상금 지급 전략이 얼마나 많은 대북 제보를 이끌어낼지 주목된다.
북한의 대북제재 위반 신고·포상제도는 2016년 2월 시행된 미국 대북제재강화법에 근거를 두고 있다. 미 국무부는 1984년부터 지금까지 세계 각국의 테러 관련 정보를 제공한 100명 이상에게 모두 1억5000만 달러(약 1770억원)가 넘는 포상금을 지급했다.
워싱턴=하윤해 특파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