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혁신위원회(이하 혁신위)가 학생선수의 주중 대회 참가 금지를 권고했다. 최저학력제 기준에 도달하지 못한 선수의 대회 참가 불허 및 체육특기자 선발 제외도 촉구했다. 체육계는 “현장의 목소리가 제대로 반영되지 못했다”며 즉각 반발해 실제 시행까지 적잖은 진통이 예상된다.
혁신위는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학교스포츠 정상화를 위한 권고를 발표했다. 지난달 7일 선수 인권 보호를 위한 독립적인 스포츠인권보호기구 설립을 촉구한 데 이은 두 번째 권고다.
혁신위는 우선 학생선수가 정규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이를 위해 학기 중 주중대회 참가 및 개최를 금지키로 했다. 학기 중 평일 개최 대회가 233개(38%)로 과다해 학생의 수업 참여가 힘들어진다고 봤다. 또 미국, 일본, 영국 등 대부분의 스포츠선진국이 주말이나 방학에 대회를 진행하고 정규수업이 있는 날 대회를 개최하지 않는 것도 근거로 들었다.
최저학력제 기준 미달 선수의 대회 참가를 불허하는 내용도 포함시켰다. 현행 학교체육진흥법이 학력기준에 미달한 학생의 대회 참가를 제한토록 했지만 학교장 재량에 따라 대회 출전이 허용되는 경우가 많아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게 혁신위의 지적이다. 고교 진학 시 최저학력제 기준에 미달한 선수를 체육특기자 선발에서 제외하는 방안도 내놨다.
전국소년체전을 학교 운동부와 학교스포츠클럽이 함께 참여하는 ‘통합 학생스포츠축전’으로 확대 개편하는 방안도 권고했다. 기존 소년체전의 초등부는 권역별 학생스포츠축전으로 전환할 것도 요구했다.
체육계는 혁신위의 권고안에 강하게 반발했다. 대한체육회는 ‘소년체전 개편안은 현장의 목소리가 반영되어야’라는 제목의 자료에서 “청소년들의 꿈과 희망이 좌절되거나 동기부여 기회가 축소되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체육계 인사들 역시 그간 엘리트 체육 축소 분위기에 대해 ‘현장의 목소리’를 강조한 만큼 반발 강도를 높일 것으로 예상된다. 테니스계 레전드로 불리는 이형택은 지난달 30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우리나라는 왜 목적이 다른 선수들을 한 시스템으로 가두려고 하는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며 “제발 현장의 목소리를 좀 들어라”고 항변했다. 손범규 한국중고등학교탁구연맹 회장은 이날 권고안 발표 이후 청와대 국민청원 페이지에 ‘학교체육을 말살하는 스포츠혁신위원회의 2차 권고안 철회를 청원합니다’라는 제목의 청원을 올렸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