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외교부 당국자는 미·중 무역전쟁 여파가 한·중 관계에도 미칠 수 있다는 우려와 관련해 “한국 정부가 올바른 판단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특히 “미국이 바라서 동참하는 것은 옳지 않다”며 “한국 정부와 기업이 판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국이 ‘반(反)화웨이’ 전선을 넓히며 한국에 동참을 요청하고 있는 상황을 의식한 발언이다.
이 당국자는 지난달 28일 베이징 중국 외교부에서 한국 외교부 출입기자들을 만나 “사드(THAAD) 배치 이후 양국이 정상적인 관계 발전으로 가고 있는데 새로운 변수가 생기면 안 된다”고 말했다. 주한미군 사드 배치로 인한 갈등을 봉합하고 각 분야에서 교류를 정상화하고 있는 한·중 관계가 미·중 무역전쟁 때문에 다시 나빠지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당국자는 “한·미동맹을 존중한다”면서도 “다만 주변국, 특히 중국의 안보 이익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선에서 지켜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교착된 북·미 협상에 관해선 “강자로서 미국이 포용성을 보여주고 먼저 조치하면 좋지만 그게 안 되면 동시 행동을 해야 한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북한은 현 단계에선 제재 완화에 가장 관심이 있는 것 같다”며 “북한이 비핵화 조치를 하고 있기 때문에 그에 상응해 제재 완화를 토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지난달 북한의 단거리미사일 발사를 두고는 “미국을 향해 태도 변화를 촉구하는 의미”라고 평가했다.
이 당국자는 시진핑 국가주석의 한국 방문에 대해선 “아직 구체적인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 시 주석이 방북을 먼저 하고 이어서 방한할 가능성과 관련해선 “이어서 간다, 안 간다 단언하기가 적절치 않다. 그때 상황을 봐야 할 것”이라고 했다.
한편 중국 정부는 한국인의 상용비자 발급 시 체류 기간 일정을 자필로 작성하게 하는 등 심사 기준을 강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 당국자는 4일 “중국은 비자 신청 때 위변조가 있어 서류를 꼼꼼히 보겠다는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베이징=외교부 공동취재단, 권지혜 기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