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 외교부 “미·중 무역전쟁 속 한국 정부 올바른 판단해야”

입력 2019-06-04 19:11
중국 화웨이가 지난달 30일 서울 중구 한국 지사에 미중 갈등으로 개소식 연기 가능성도 점쳐졌던 5G 오픈 랩을 개소했다. 사진은 이날 오후 화웨이코리아 사무실 모습. 뉴시스

중국 외교부 당국자는 미·중 무역전쟁 여파가 한·중 관계에도 미칠 수 있다는 우려와 관련해 “한국 정부가 올바른 판단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특히 “미국이 바라서 동참하는 것은 옳지 않다”며 “한국 정부와 기업이 판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국이 ‘반(反)화웨이’ 전선을 넓히며 한국에 동참을 요청하고 있는 상황을 의식한 발언이다.

이 당국자는 지난달 28일 베이징 중국 외교부에서 한국 외교부 출입기자들을 만나 “사드(THAAD) 배치 이후 양국이 정상적인 관계 발전으로 가고 있는데 새로운 변수가 생기면 안 된다”고 말했다. 주한미군 사드 배치로 인한 갈등을 봉합하고 각 분야에서 교류를 정상화하고 있는 한·중 관계가 미·중 무역전쟁 때문에 다시 나빠지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당국자는 “한·미동맹을 존중한다”면서도 “다만 주변국, 특히 중국의 안보 이익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선에서 지켜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교착된 북·미 협상에 관해선 “강자로서 미국이 포용성을 보여주고 먼저 조치하면 좋지만 그게 안 되면 동시 행동을 해야 한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북한은 현 단계에선 제재 완화에 가장 관심이 있는 것 같다”며 “북한이 비핵화 조치를 하고 있기 때문에 그에 상응해 제재 완화를 토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지난달 북한의 단거리미사일 발사를 두고는 “미국을 향해 태도 변화를 촉구하는 의미”라고 평가했다.

이 당국자는 시진핑 국가주석의 한국 방문에 대해선 “아직 구체적인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 시 주석이 방북을 먼저 하고 이어서 방한할 가능성과 관련해선 “이어서 간다, 안 간다 단언하기가 적절치 않다. 그때 상황을 봐야 할 것”이라고 했다.

한편 중국 정부는 한국인의 상용비자 발급 시 체류 기간 일정을 자필로 작성하게 하는 등 심사 기준을 강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 당국자는 4일 “중국은 비자 신청 때 위변조가 있어 서류를 꼼꼼히 보겠다는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베이징=외교부 공동취재단, 권지혜 기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