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거워야 할 해외여행이 아비규환으로 변했다. 29일(현지시간) 저녁 헝가리 부다페스트의 다뉴브강에서대형 크루즈선이 한국인 여행객 등 34명을 태운 유람선을 추돌,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하는 안타까운 사고가 일어났다. 사고 유람선에는 한국인 33명과 현지인 선장 1명이 타고 있었다. 한국인 가운데 7명은 구조됐으나 26명은 사망하거나 실종된 상태다.
정확한 사고 원인과 경위는 보다 세밀한 조사가 이뤄져야 밝혀질 것으로 보이나 악천후에 따른 안전사고일 가능성이 크다. 지난 한 달 동안 헝가리에 비가 많이 내려 다뉴브 강물이 평소보다 많이 불어난 상태였다고 한다. 설상가상 사고 당시 현지에는 천둥과 번개를 동반한 폭우가 내려 유람선 관광에 부적절한 날씨였다. 꼭 이런 날씨에 관광을 강행했어야만 했나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현지에서 구조작업에 어려움을 겪는 이유도 빠른 유속과 낮은 수온 탓이다.
정부는 이날 사고 수습과 사상자 지원을 위해 강경화 외교부 장관을 현지에 급파했다. 앞서 주헝가리 대사관은 사고 인지 즉시 현장대책반을 구성하고 영사를 파견했다. 문재인 대통령의 신속한 구조 지시가 있었고, 정부는 강 장관을 단장으로 한 재외국민보호대책본부를 구성했다. 강원도 산불 때와 마찬가지로 이번에도 정부 대응이 적절했다는 평가가 많다. 세월호 학습효과다.
실종자 구조와 사고 수습이 우선이다. 정부는 헝가리 정부와 긴밀한 협조를 통해 우리 국민의 불편함이 없도록 최선을 다해야 한다. 아울러 사망자 유족 및 실종자 가족이 현장을 지켜볼 수 있도록 최대한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정치권의 역할도 중요하다. 여야가 정쟁을 멈추고 위로의 인사와 함께 신속한 구조를 한목소리로 강조하고 나선 건 바람직하다. 정부에만 맡길 게 아니라 국회 차원에서 뒷받침할 건 없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해외여행 3000만명 시대다. 사고는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일어난다. 재외국민 보호는 국가의 당연한 의무이나 국가가 모든 걸 책임지지 못한다. 그걸 기대해서도 안 된다. 사고를 막기 위해서는 스스로 안전을 지키려는 의식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사설] 안타까운 ‘다뉴브강의 비극’
입력 2019-05-31 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