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메모리 반도체, 미래형 자동차와 함께 정부가 3대 신산업 육성 대상으로 꼽은 바이오산업이 근간부터 흔들리고 있다는 우려가 크다. 삼성바이오로직스에 대한 검찰 수사에 이어 코오롱생명과학의 골관절염 유전자치료제 ‘인보사케이주’ 퇴출로 바이오 업계 전반이 위축되는 분위기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28일 자성의 목소리를 내면서도 이번 인보사 사태가 바이오 산업계에 대한 신뢰 문제로 이어져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밝혔다. 협회는 입장문을 내고 “의약품은 안전성과 유효성에 기초하는 만큼 윤리와 과학을 바탕으로 연구개발에 임해야 했으나 원칙에서 벗어났다는 점에서 통렬한 자성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며 “앞으로 이와 유사한 일이 재발해서는 안 되며 연구개발과 인허가 과정은 더욱 윤리적이고 과학적이며 투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협회는 “국민의 건강을 지키는 버팀목이자 글로벌 선진산업 진입을 앞둔 제약·바이오 산업의 공익적·경제적 가치를 확대·발전시키는 지혜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최근 정부가 제약·바이오 산업을 차세대 주력 산업으로 적극 육성하겠다는 입장을 공식 발표한 상황에서 인보사 사태가 혹여나 업계 전반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질까 우려한 것이다.
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도 입장문에서 “의약품은 안전성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며 “이번 일을 계기로 바이오 산업계 전체가 경각심을 갖고 철저한 품질관리에 나서겠다”고 다짐했다. 이어 “깊은 성찰과 반성을 하고 품질관리의 글로벌 표준화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인보사 사태는 신뢰가 생명인 바이오 업계에 큰 상처를 남길 것으로 보인다. 코오롱 측이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 전에 인보사 주성분이 바뀌었다는 사실을 알고도 이를 숨긴 것은 사실상 데이터 조작이나 다름없다는 비판이 나온다.
게다가 삼성바이오 분식회계와 증거인멸 의혹 수사도 현재진행형이다. 바이오 업계가 이미지를 개선하고 신뢰를 회복하기는 당분간 어려울 것이라는 걱정이 업계 전반에 퍼지고 있다.
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