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가 말한 북 핵시설 5곳 국정원도 정확히 알고 있다

입력 2019-05-21 21:04

국가정보원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언급한 5곳의 북한 핵 시설 리스트를 파악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5곳 리스트 파악 여부에 대해 “확인해 줄 수 없다”고 답했지만, 한·미 정보당국이 이미 같은 내용을 공유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다만 우리 정보당국은 2차 북·미 정상회담 결렬 과정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5곳 시설의 폐쇄를 요구했는지는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복수의 국회 정보위 관계자는 21일 “국정원도 트럼프가 언급한 5곳의 리스트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다”며 “한·미 양국이 북한 핵 시설에 대해 같은 내용을 공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정원은 국회 정보위 비공개 보고에서 보안을 이유로 북한의 추가 핵 시설에 대한 구체적인 위치는 보고하지 않았다. 서훈 국정원장은 2차 북·미 정상회담 결렬 직후인 지난 3월 정보위에 출석해 “복수의 북한 핵 시설을 파악하고 있다. 정확한 위치는 언급할 수 없다”고 보고한 것으로 전해졌다. 당시에는 ‘5곳’이라는 숫자 대신 ‘복수’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다만 정보당국이 2차 북·미 정상회담 직후 결렬 이유를 어느 정도 파악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한 정보위 관계자는 “회담 결렬 이유로 이른바 ‘플러스알파’가 언급되긴 했지만, 5곳 핵 시설 폐쇄 요구가 포함됐는지 등 구체적인 보고는 없었다”면서 “국정원이 파악했는데도 보고하지 않았던 것인지, 아예 파악하지 못했던 것인지는 분명하지 않다”고 설명했다.

이혜훈 정보위원장은 지난 3월 정보위에서 국정원으로부터 보고를 받은 뒤 “여러 보고를 들으면서 (영변 외 추가 핵시설이) 있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회담 결렬 원인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았다.

김의겸 당시 청와대 대변인도 플러스알파에 대해 “‘하나 더’의 의미가 특정 시설을 가리키는지, 아니면 포괄적으로 영변에서 나아간 영변 이외의 어떤 것을 요구하고 있는지 의미가 정확하지 않다”며 “이런저런 경로를 통해 정보를 취득하고 있는데 그 의미가 명료하지 않다”고 설명한 바 있다.

김판 기자 p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