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연철(사진) 통일부 장관이 “배고픈 아이는 정치를 모른다”고 한 1984년 로널드 레이건 전 미국 대통령의 말을 인용하며 대북 인도적 지원 방침을 재확인했다.
김 장관은 21일 서울 종로구 AW컨벤션센터에서 취임 후 첫 기자간담회를 갖고 “인도적 지원은 인도주의적 원칙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라며 “정부도 인도주의의 보편적 원칙에 따라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장관은 현재 한반도 주변 정세와 관련해 “전체적으로 보면 일종의 소강국면이라 할 수 있다”면서도 “협상 재개를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미 양국은 상황관리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고, 협상 재개를 위한 다양한 의견수렴도 하고 있다”고 전했다.
정부 고위당국자는 “식량지원 방식의 장단점을 검토해 보면 의외로 방식이 훨씬 다양해질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유니세프와 세계식량계획(WFP)을 통한 800만 달러 인도적 지원 외에 정부의 직접 지원 가능성도 검토 중이라는 의미다. 다만 이와 관련한 북측과의 논의 기회는 아직 마련되지 않았다는 것이 이 당국자의 설명이다.
정부가 지난 17일 발표한 개성공단 입주기업인의 방북과 관련해 이 당국자는 “북측과 계속 협의 중에 있으며 (미국과도) 워킹그룹 회의 등을 통해 여러 논의를 했다”고 전했다. 다만 북측이 방북을 수용할지는 아직 미지수다. 이 당국자는 “방북 승인은 일종의 오픈티켓”이라며 “방북 성사를 위해 계속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개성공단 입주기업인들은 장마가 시작되기 전에 방북하고 싶다는 의사를 정부에 전달했다.
정부는 남·북·미 교착상태를 풀기 위해 지난해 5월 판문점에서 열린 ‘원포인트 남북 정상회담’과 같은 형식의 추가 남북 정상회담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고위당국자는 “(4차 남북) 정상회담 목적을 북·미 정상회담 재개를 위한 일종의 조율로 본다면 형식적 측면보다는 실질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굳이 대북특사나 남북 고위급회담을 사전에 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이어 “물위와 물밑은 따로 놀지 않는다”면서 “약간의 시차가 있을 수는 있지만, 그게 전혀 다른 방식으로 움직이지는 않는다”고 덧붙였다. 현재의 소강국면이 남북 간 물밑접촉에서도 마찬가지 상황이라는 것으로 해석된다.
최승욱 박재현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