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잊지 않을게”… 세월호 희생 단원고 학생 ‘눈물의 명예졸업식’

입력 2019-02-12 18:59 수정 2019-02-13 00:01
졸업생들이 앉아 있어야 할 자리가 비어 있다. 학생들 이름이 적힌 의자 위에는 보자기에 싸인 앨범과 졸업증, 꽃다발 등이 놓여 있다. 12일 경기도 안산 단원고등학교 대강당에 차려진 세월호 참사 희생자들의 명예졸업식장 모습이다. 한때 ‘제적’ 처리가 됐던 세월호 참사 학생들은 학적을 되찾고 이날 뒤늦게 졸업식을 가졌다. 안산=최현규 기자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12일 경기도 안산시 단원고등학교에서 열린 세월호 참사 희생자들의 명예졸업식에서 한 유가족의 손을 붙잡고 위로하고 있다. 유가족의 얼굴도, 유 부총리의 얼굴도 눈물 때문인지 부어 있다. 안산=최현규 기자
“우리 아이들이 이제야 졸업을 하네요. 참사만 없었더라면 벌써 했을 텐데….”

푸르른 학생들이 환한 얼굴로 앉아 있어야 할 자리에는 부모님과 가족들이 대신 앉았다. 바닷속으로 사라진 학생들의 명찰과 꽃다발이 보는 이들의 가슴을 더욱 아프게 했다. 손수건으로 흘러나오는 눈물을 닦는 유족, 주먹으로 눈물을 훔치는 후배들, 이들의 어깨를 어루만지는 어른들, 말없이 천장만 바라보는 이들…. 슬픈 졸업식이었다.

2014년 4월 16일 세월호 참사로 희생된 경기도 안산시 단원고 학생 250명(미수습 2명 포함)을 위한 명예졸업식이 12일 오전 10시 단원고 강당에서 열렸다.

이날 명예졸업식은 추모 동영상 상영, 명예졸업장 수여, 재학생 합창, 인사말, 회고사, 졸업생 편지낭독, 교가 제창 등 순으로 1시간30분간 진행됐다.

추모 동영상이 상영되자 장내 여기저기에서 흐느끼는 소리가 터져 나왔다. 대형 스크린에는 희생 학생들이 떠나던 날 학교 주변을 화사하게 감싸던 벚꽃을 배경으로 희생 학생들의 사진과 이름이 스치듯 지나갔다.

양동영 단원고 교장은 명예졸업장을 수여하기에 앞서 “잊지 않고 기억하겠다”며 희생 학생 250명의 이름을 하나하나 불렀다.

2학년 7반 고 전찬호군의 아버지인 전명선 4·16 세월호가족협의회 전 운영위원장이 희생 학생들을 대표해 명예졸업장을 받았다. 전 전 위원장은 회고사를 통해 “희생된 아들딸이 학생복 입고 친구들과 함께 자리했어야 할 졸업식장에 엄마, 아빠들이 공허한 마음으로 이 자리에 있다”며 안타까운 심정을 토로했다.

아들의 교복을 입고 졸업식에 참석한 어머니도 있었다. 이 어머니는 “아들이 졸업장을 받는다는 생각을 하며 교복을 입고 왔다”면서 눈시울을 붉혔다.

명예졸업식이 끝난 후 노란 보자기에 싸인 졸업장과 졸업앨범 등을 든 유족들은 학교 운동장 옆 세월호 참사 추모조형물로 발걸음을 옮겼다. 일부 유족들은 서럽고 안타까운 마음에 강당을 떠나지 못하고 서성거렸다. 서로 안아주고 등을 토닥여주는 모습도 보였다.

세월호 참사 희생 학생들이 학적을 되찾고 명예졸업장을 받기까지는 우여곡절이 있었다. 단원고와 경기도교육청은 2016년 희생 학생 전원을 제적 처리했다. 유족들의 반발에 도교육청은 학생들의 학적을 복원했고 유족들은 그동안 미뤘던 졸업식을 올해 요청했다.

안산=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