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답방, 정부가 앞당기는 방안 추진

입력 2018-11-29 04:00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28일(현지시간) 체코 프라하성을 방문해 성 바츨라프 왕관을 살펴보고 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안드레이 바비쉬 체코 총리를 만나 우리 기업의 체코 원전 수주를 적극 검토해 달라고 요청했다. 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이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 참석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취임 후 여섯 번째 정상회담을 한다. 북·미 고위급 회담이 공전하는 가운데 열리는 이번 한·미 정상회담은 연말연초 복잡한 한반도 정세를 판가름할 분수령으로 평가된다.

문 대통령의 체코 방문을 수행 중인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28일(현지시간) 프라하 프레스센터 브리핑에서 “한·미 양국은 G20 정상회의 기간 중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 간 정상회담을 갖기로 합의했다”며 “시간과 장소 등 구체 사항은 협의 중”이라고 말했다. 이어 “양 정상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인 평화 정착 등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공조 방안과 한·미동맹 강화·협력 방안 등을 중점 논의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회담의 주요 의제는 2차 북·미 정상회담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서울 답방 문제다. 두 사안은 서로 연계돼 있지만 상황에 따라서는 우리 정부가 단독으로 치고 나갈 가능성도 높다. 그동안 2차 북·미 정상회담 개최 이후에 김 위원장이 방남할 것이라는 관측이 많았다. 하지만 북·미 협상이 지연되면서 정부는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을 앞당기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2차 북·미 정상회담과 김 위원장의 답방은 완벽히 연계돼 있다고 보기 어려운 사안”이라며 “근래 남북 정상회담을 미국과 합의해서만 한 것은 아니다. 특별히 미국의 승인을 요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가 북한과 얘기해야 하는 부분도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2차 북·미 정상회담 진행 상황을, 문 대통령이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 진행 상황을 설명한 뒤 의견을 조율할 것으로 예상된다.

문 대통령은 남북 철도 공동조사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제재 예외 사안으로 인정된 점을 언급하며 제재 완화 문제를 거론할 가능성도 높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흐름상 어디까지 양 정상이 얘기할지는 알 수 없지만, 현재 2차 북·미 정상회담 일정을 못 잡고 있기 때문에 여러 정세를 공유할 것이고 트럼프 대통령이 힘을 실어줘야 할 부분도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양측의 (비핵화) 방안은 서로 다 알고 있다. 지금은 어떤 방안을 설득해서 돌파구를 찾는 상황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프라하=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