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재 수혈’에서 ‘친정 체제 강화’로 선회한 문 대통령

입력 2018-11-12 04:03

청와대가 출범 초기의 인재 수혈 기조에서 친정체제 강화로 선회하고 있다. 영입 인사였던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장하성 전 청와대 정책실장 후임으로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 철학을 뼛속까지 아는 인사들이 발탁됐기 때문이다.

청와대는 홍남기(왼쪽 사진)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 후보자와 김수현(오른쪽 사진) 청와대 정책실장 발탁이 경제팀 분열을 끝내기 위한 것임을 분명히 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11일 “경제부총리와 정책실장을 동시에 바꾼 것은 선후관계를 따져 누구를 문책하기보다 정책팀을 일신한다는 의미를 시장에 전달하기 위함”이라며 “두 사람은 ‘원팀’으로서 잡음 없이 경제정책을 이끌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 부총리와 장 전 실장은 문 대통령이 직접 기자회견을 열고 임명을 발표했던 인사들이다. 청와대는 당시 “대한민국의 모든 인재풀(pool)을 활용하겠다”며 진보 진영은 물론 보수 진영 인사들도 중용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하지만 김 부총리와 장 전 실장이 경제정책을 두고 갈등을 표출하면서 청와대 내부에서 회의론이 대두됐다. 두 ‘외부자’의 싸움이 연일 불거져 시장에 악영향만 끼쳤기 때문이다. 사실상 개혁 동력의 마지노선인 집권 2년차를 맞아 더 이상 실험만 할 수는 없다는 위기감도 새어나왔다.

결국 문 대통령의 결정은 국정 철학에 정통한 홍 후보자와 김 실장 발탁이었다. 홍 후보자는 정부 출범 직후부터 국무조정실장으로 일해 왔고, 김 실장은 문 대통령의 대선 재수를 도운 핵심 측근이다. 김 실장은 청와대 사회수석으로 근무하며 부동산·탈원전·수능개편 등 현안을 비롯해 경제·교육·환경·여성 전 분야를 관장해 왔다. 김 실장이 떠난 자리에 임명된 김연명 신임 사회수석 역시 문 대통령의 대선 싱크탱크 출신이다.

청와대가 생각보다 이른 시기에 친정체제 강화에 나섰다며 정책 집행에는 힘을 얻겠지만 소득주도성장 등 논쟁적 정책을 두고 정부 내에서 브레이크를 걸 인사들이 사라졌다는 비판적 평가도 나온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