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 야당인 자유한국당은 국회가 주관하는 남북 평양 국회회담에는 동행할까. 평양발 ‘정치 이벤트’에 선명한 반대 노선을 고수하는 한국당이지만 다음 달 개최될 수 있는 남북 국회회담에 대해서는 긍정적 기류가 감지되고 있다.
김성태 한국당 원내대표는 2일 원내대책회의에서 국회·정당 방북단 20명이 10·4선언 11주년 남북 공동행사에 참석하는 것과 관련해 “이제 대한민국의 정치 일번지가 평양이 될 지경”이라며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그는 “정기국회는 안중에 없고 틈만 나면 평양에 가겠다고들 아우성”이라며 “옥류관 주방장이야 냉면을 많이 팔아 좋아할지 모르지만 사진찍기용 방북은 남발하지 말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다만 남북 국회회담 사안에는 “정상회담에 이어 실질적인 북한의 핵 폐기 진전을 국민의 대표로서 확인할 수 있는 회담이 가장 큰 목적이 돼야 한다. 그런 여건 하에 한국당도 전략적인 판단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병준 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도 “의제와 형식을 봐야겠지만 원론적으로는 긍정적으로 생각한다”고 했다.
조건을 달기는 했지만 평양 남북 정상회담이나 10·4선언 공동행사 대응 방식과는 온도차가 있다. 자칫 ‘평화에 역행하는 정당’이라는 이미지가 굳어질 수 있다는 현실적 고민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민주당은 ‘수구 냉전 세력’ 프레임으로 한국당을 압박하고 있다. 홍영표 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도 “한국당은 하루도 빼놓지 않고 평화를 발목잡으려 한다”고 비판했다. 여기에 평양 방문 문제에서 한국당과 보조를 맞춰 온 바른미래당도 “남북 국회회담은 국회에서 하는 것인 만큼 응할 것”(손학규 대표)이라고 방향을 정했다. 자칫 한국당만 외톨이가 될 수 있는 상황인 것이다.
박상병 인하대 초빙교수는 “대통령·정부 주도 행사에 들러리로 따라가면 지지층의 지지를 받기 어렵지만 한국당도 주체인 국회회담의 경우는 동참 명분이 있다”면서 “비핵화 진정성이나 북한의 의도 등을 확인해보고 보수 진영의 우려도 전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전향적 입장을 보일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지호일 이종선 기자 blue51@kmib.co.kr
한국당, ‘평양 이벤트’는 반대, 11월 국회회담은 긍정
입력 2018-10-02 1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