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한국 채권에 투자하는 외국인이 민간자금에서 중앙은행, 국부펀드 등 공적자금 위주로 물갈이됐다. 글로벌 금융위기를 계기로 채권투자를 결정할 때 국내외 금리차에 따른 차익거래보다는 리스크를 더 중시하는 흐름을 보이는 것이다.
한국은행의 유복근 연구위원은 3일 ‘글로벌 금융위기 전후 외국인의 채권투자 결정요인 변화 분석: 한국의 사례’ 보고서를 발표하고 이같이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 중앙은행, 국부펀드 등 외국 공적자금의 한국 채권투자 비중은 10%에 불과했다. 하지만 외국 공적자금의 한국 채권투자 비중은 지난해 71%로 급증했다. 반면 민간자금 비중은 같은 기간 90%에서 29%로 크게 줄었다.
외국인 채권보유액의 잔존만기 비중도 단기에서 중장기로 역전됐다. 지난해 잔존만기 3년 초과 채권의 비중은 48%로 2008년의 22%에 비해 26% 포인트나 늘었다. 이와 달리 잔존만기 1년 이하 채권 비중은 지난해 28%로 2008년의 55%보다 27% 포인트 감소했다.
보고서는 금융위기 이후 투자자산의 수익성보다 안정성과 유동성을 중시하면서 고위험·고수익에서 저위험·저수익 추구로 투자 패턴이 전환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이는 2010년부터 지난해까지 외국인의 한국 채권투자 결정에 차익거래 유인이 미치는 영향력이 금융위기 이전보다 크게 줄어든 것에서도 나타난다.
보고서는 외국인의 한국 채권투자 결정에 미치는 변수를 단순 금리차 등 차익거래 유인, 신흥국 리스크 지표를 토대로 한 글로벌 리스크, 글로벌 리스크를 제외한 국가 리스크로 나눠 살펴봤다. 금융위기 이전에는 단순 금리차가 채권투자자금 순유입에 미치는 기여율이 가장 높았다. 그러나 금융위기 이후에는 글로벌 리스크의 기여율이 우선순위로 나타났다. 단순 금리차의 기여율은 금융위기 이전 23%에서 금융위기 이후 0.2%로 뚝 떨어졌다. 글로벌 리스크는 같은 기간 16.8%에서 2.3%로 낮아졌지만 단순 금리차보다는 영향력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국가 리스크는 0%에서 이후 0.7%로 소폭 상승했다.
이동훈 선임기자 dhlee@kmib.co.kr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외국인의 한국 채권 투자 비중 민간 자금→ 공적 자금 ‘大이동’
입력 2018-07-03 18:55 수정 2018-07-03 2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