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운송·에너지 인프라 재건에 71조원 필요”

입력 2018-06-28 18:31
김정렬 국토교통부 2차관(오른쪽)과 박호영 북한 국토환경보호성 부상이 28일 판문점 북측 통일각에서 남북 도로협력 분과회담을 시작하기 전 악수하고 있다. 양측 대표는 문산과 개성을 잇는 고속도로 건설에 관해 논의했다. 문산에서 개성까지 19㎞를 이으면 서울에서 평양까지의 도로망이 연결된다. 뉴시스

북한의 운송과 에너지 관련 인프라를 재건하는 데 필요한 비용이 631억 달러(약 71조원)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미국 CNBC는 28일 금융회사 시티그룹 보고서를 인용해 북한의 철도, 도로, 공항, 항만, 발전소 등 인프라 재건에 장기적으로 631억 달러가 들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28개 철도 프로젝트에 241억 달러, 33개 도로 사업에 228억 달러, 16개 발전소 건설에 100억 달러가 소요될 것으로 추산됐다. 또 인프라 재건 사업을 시행하기 위해 즉시 필요한 초기 비용은 116억 달러로 추정됐다.

북·미 정상회담 이후 남북 간에 경제협력 대화 속도가 붙고 있는 가운데 시티그룹은 북한 인프라 재건 사업이 시작될 경우 한국 기업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보고서는 초기 비용 116억 달러와 관련해 한국 기업들이 건설과 자재 수요의 확대에 따라 투자금액의 60%는 이익으로 가져갈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중기적으로는 북한 광물자원 탐사 기회 확보, 장기적으로는 내수시장 확대 등도 기대했다.

보고서는 한국이 국책은행과 다자 펀드를 포함한 공적재원을 활용해 재건 사업 비용을 지원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보고서는 “북한 경제 재건으로 한국에 미칠 경제적 효과는 0.07% 포인트의 경제성장률 증가로 그리 크지 않다”면서도 “투자 가치는 지정학적 리스크 해소로 인한 증시 상승, 한국 기업들의 또 다른 내수시장 확보 등에서 찾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앞서 국내에서도 북한 경제 재건 비용과 관련된 보고서는 다수 발간됐다. 통일부 보고서는 55조원, 금융위원회 보고서는 549조원이 필요하다고 예측했다.

장지영 기자 jy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