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석유’ 데이터 시장 10조 규모로 육성

입력 2018-06-26 18:36

정부가 ‘21세기 석유’로 불리는 데이터 시장 규모를 현재 6조3000억원에서 2022년 10조원까지 키우기로 했다. 시장 육성을 위해 공공기관 데이터와 비식별화 개인정보 등 더 많은 데이터를 공개하고, 관련 규제를 풀어 데이터 활용을 촉진하기로 했다.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는 26일 7차 회의를 열고 관계부처 합동으로 마련한 ‘데이터 산업 활성화 전략’을 의결했다.

장병규 4차위 위원장은 “시대적 변화에 부응하지 못하는 데이터 정책이 4차 산업혁명 확산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며 “데이터 이용의 패러다임 전환이 빅데이터 산업 경쟁력 강화에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정부는 데이터 산업 활성화를 통해 데이터 전문인력을 현재 10만7000명에서 15만명까지 늘리고 기업의 빅데이터 이용률을 현재 7.5%에서 20%까지 올릴 계획이다.

또 데이터 산업 육성을 위해 공공·민간 데이터 개방을 촉진한다. 전수조사와 국가중점 데이터 등 공공 데이터를 우선 개방하고 이후 통계 데이터들을 공개할 예정이다.

아울러 바이오·소재·연구장비·인공지능(AI) 분야 연구 데이터와 연구산업 현장의 측정 데이터도 공유할 계획이다. 공공재 성격을 가진 민간 데이터도 함께 활용할 수 있게 할 방침이다.

산업별 빅데이터 구축도 지원한다. 정부는 빅데이터 전문센터를 올해 35개에서 2022년 100개까지 늘리고 빅데이터 센터 간 협력 네트워크를 확대키로 했다. 범용 AI를 위한 이미지·상식 데이터도 2017년 688만 건에서 2022년 1억1000만건까지 늘리기로 했다. 전문분야 AI를 위한 법률·특허·의료 데이터도 2017년 211만건에서 2022년 4800만건까지 확장한다.

또한 정부는 개인정보 비식별조치 법제화를 추진해 특정 개인의 정보인지 알 수 없는 데이터를 민간·대학·공공기관에서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키로 했다. 통계청·의료기관·금융기관·신용정보기관 등에서 모은 데이터를 비식별화해 ‘데이터 안심존’을 꾸린 뒤 각종 데이터를 축적·공개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데이터의 효율적인 저장·관리를 위해 향후 5년간 중소·벤처기업 1만곳 이상이 클라우드를 도입하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지방자치단체에도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 도입을 장려한다.

정부는 데이터 산업 기반도 함께 마련하기로 했다. 2022년까지 빅데이터 기술력을 선진국의 90% 수준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또 빅데이터 전문 프로그램과 데이터 인재 발굴 플랫폼 등을 운영해 데이터 전문인력 5만명을 양성한다. 아울러 데이터 강소기업을 100곳까지 육성할 수 있도록 정부의 데이터 인프라를 제공한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