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보자 검증 리포트] 李, 지방분권→경기발전 vs 南, 일자리 70만개… 5대 공약 분석

입력 2018-05-30 05:04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경기지사 후보가 지난 25일 오후 경기도 수원 경기도선거관리위원회에서 열린 6·13 지방선거 매니페스토 정책선거 실천 협약식에서 발언하고 있다. 오른쪽 사진은 남경필 자유한국당 후보가 같은 장소에서 발언하는 모습. 뉴시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남경필 자유한국당 경기지사 후보 모두 남북 교류협력 활성화와 통일경제특구 조성 등을 공약에 담았다. 최근 한반도 평화에 대한 높아진 기대감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 후보와 남 후보의 주요 공약을 통해 본 ‘경기 발전’의 청사진은 서로 다른 곳에 방점이 찍혀 있다. 이 후보는 지방 분권 강화, 직접 민주주의 제도 확대, 경제민주화 등을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5대 공약으로 제출했다. 남 후보는 일자리와 주거·교통·안전 등 실생활과 밀접한 공약을 앞세웠다.

두 후보는 나란히 경의선·경원선 철도 복원과 남북교류협력 확대, 경기 북부 지역에 ‘통일경제특구’와 DMZ(비무장지대) 내 생태 평화 관광지구 조성 등을 약속했다. 접경지역 표심을 잡기 위한 의도도 깔려 있다. 남 후보가 남북 교류에 부정적인 한국당과 달리 남북 교류협력을 공약한 부분도 눈에 띄는 부분이다.

두 후보는 각각 성남시장 및 경기지사 재임 시절 대표 정책을 계승한 공약도 내놓았다. 이 후보는 2019년부터 경기도 내 전통시장과 음식점 등에서 사용할 수 있는 지역화폐를 발행·유통하겠다고 밝혔다. 성남시에서 시행한 성남사랑상품권을 사례로 들었다. 또 성남시장 시절 대표 정책인 청년배당을 경기도로 확대 적용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아울러 만 18세 청년에게 최저 가입 보험료 9만원씩을 지급해 ‘연금 가입자’ 지위를 부여하는 ‘생애 최초 청년 국민연금 지원 사업’도 공약했다.

남 후보는 지난 2014년 지방선거 때에도 공약했던 일자리 70만개 창출을 이번 선거의 1순위 공약으로 제시했다. 경기도 도처에 판교테크노밸리와 같은 첨단산업단지 15곳을 조성해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구상이다. 문재인정부 경제 실정 심판과 일자리 창출을 자신의 트레이드 마크로 삼겠다는 뜻이 담겼다. 남 후보 측은 29일 “지난 4년간 경기도에서만 62만50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해냈다”며 자신감을 보였다.

남 후보는 이외에 경기순환 굿모닝 철도 구축, 수도권 제2순환고속도로 건설, 분당과 평촌 등 1기 신도시 재건축 연한 축소(30년→25년), 경기·서울 통합소방항공대 설치 등 교통과 주거, 안전 대책을 주요 공약에 담았다.

반면 이 후보는 ‘촛불혁명 계승 공약’을 대거 앞세웠다. 특히 5만명 이상이 청원하면 반드시 도지사실이 답변하는 도민청원제를 도입·운영하겠다고 약속했다. 현재 청와대 국민청원게시판의 경기도 버전인 셈이다. 또 도내에 ‘경제민주화 위원회’를 구성해 경제민주화를 실천하겠다는 의지도 내비쳤다.

이종선 최승욱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