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층·재초환 반대” 서울 36개 재건축조합 연합체 결성

입력 2018-05-21 05:03

6·13 지방선거 앞두고 연합단체 ‘서미연’ 25일 출범
“시장 후보 초청 토론회서 답변 듣고 지지 후보 선택”


서울 시내 재개발·재건축 조합 및 추진위원회가 다음 달 13일 지방선거를 앞두고 연합 단체를 결성한다.

이들은 선거 국면을 활용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재개발·재건축 규제 강화에 대한 반대 목소리를 높이는 등 집단행동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20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서울의 재개발·재건축 조합 및 추진위들은 오는 25일 ‘서울, 미래도시 재개발-재건축 시민연대(서미연)’을 출범시킬 계획이다. 압구정 특별계획구역 3∼5구역, 대치동 은마아파트 재건축 추진위, 반포주공1단지(1·2·4주구) 등 강남지역 주요 재건축 조합 및 추진위를 비롯해 한남3구역, 성수4지구 등 재개발조합까지 총 36개 단체가 참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역별 재개발·재건축 연합회장이 공동회장단을 구성하고 공동회장단의 합의에 따라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이들은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정식 출범행사를 갖고 회원단체 수를 늘려나갈 계획이다. 특히 여야 서울시장 후보자들을 초청해 관련 정책토론회도 개최한다. 후보들의 도시정비사업 관련 정책을 직접 청취하고 이를 토대로 지지후보를 선택하겠다는 취지다.

대다수 조합들은 서울시의 층수 및 용적률 제한을 가장 불합리한 규제로 꼽아왔다.

일반주거지역 아파트 최고 층수를 35층 이하로 제한한 ‘2030서울플랜’을 폐지하고 입지 여건을 고려한 자율적 정비계획 수립을 보장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용적률 300% 제한은 물론 최근 부활한 초과이익환수제 부담금에 대한 이의 제기 등도 이뤄질 전망이다.

지난주 초 서울 서초구 반포현대 재건축 조합의 초과이익부담금 예상액이 1억3000여만원까지 치솟으면서 재건축 시장에는 ‘부담금 쇼크’가 확산되고 있다. 부담금이 많이 나올 것으로 우려되는 단지들을 중심으로 조합원 간 갈등 조짐도 나타나고 있다.

시공사 선정과 관리처분인가를 앞둔 서초구 반포3주구는 가구당 부담금이 3억∼4억원에 달할 것이란 전망이 많다.

사업진행 상황이 비슷한 다른 단지들도 구청에 신고할 자체 부담금 예정액 산출에 부담을 느껴 사업 방향을 재논의하는 등 대안 모색에 분주한 상황이다.

정건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