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서울시 검증된 정책, 文정부가 전국에 적용”

입력 2018-05-08 05:05
박원순 서울시장이 7일 서울 가회동 공관에서 국민일보와 인터뷰하고 있다. 서울시장 3선 도전을 선언한 박 시장은 앞으로 주거·보육 문제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최종학 선임기자

당선 땐 여전히 하고 싶은 것 너무 많아
주거·교육 등 공공정책에 지자체 개입 ‘사회적 우정의 시대 ’라는 새 비전 제시
공공임대주택 5년간 24만호 더 공급
국·공립 어린이집 비율 50%로 높일 것
월 임대료 제한권 등 규제 과감히 풀어야
후보 양보론 말도 안돼… ‘대선’ 관심 없어


6·13 지방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3선 도전을 선언한 박원순 서울시장은 7일 “(당선되면) 여전히 하고 싶은 게 너무 많다”고 했다. 공공임대주택 24만호를 공급하고, 나무 800만 그루를 심고, 국·공립 어린이집 비율을 50%로 늘리고, 월세 임대료를 제한하겠다는 구상이다.

박 시장은 서울 가회동 서울시장 공관에서 진행된 국민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주거와 보육 등 공공정책에 지방자치단체가 적극 개입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들을 제시했다. 박 시장은 이를 ‘각자도생의 시대’를 넘어선 ‘공동체적 삶에 기반을 둔 사회적 우정의 시대’라고 불렀다.

박 시장은 ‘왜 3선에 도전하는가’라는 질문에 “지난 7년간 시민의 삶을 바꾸는 행정에 투자하는 실험을 해 왔고, 실제 성공사례를 보여드렸다”며 “서울시의 검증된 정책과 실험을 문재인정부가 이어받아 전국에 적용하는 중”이라고 자평했다. 이어 “이러한 흐름이 4년 더 이어진다면, 서울시는 물론 한국이 잃어버린 10년을 넘어서 새로운 사회로 갈 수 있다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박 시장은 ‘구체적으로 뭐가 달라졌는가’라는 질문에는 재임기간 중 추진했던 ‘서울로7017’ ‘서울공공자전거 따릉이’ 등 주요 정책을 언급했고, 3선에 성공할 경우 주거 및 보육 문제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데 정책의 우선순위를 두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특히 공공임대주택 비율을 크게 높이겠다고 약속했다. 그는 “재임 7년 동안 공공임대주택 14만호를 공급했고 앞으로 5년 동안 24만호를 더 공급하겠다”며 “이렇게 되면 서울시 전체 주택 중 공공임대주택 비율이 10%를 넘어 전체 주택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박 시장은 “장기적으로는 전체 주택 중 공공임대주택 비율이 30%, 더 장기적으로는 70%까지 가야 한다”며 “정책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저와 같은 생각을 가진 사람이 앞으로 서울시를 70년은 더 이끌어야 한다”고 말했다.

박 시장은 “미국 뉴욕시장은 월세 임대료의 상한선을 제한할 수 있는데 서울시장은 그렇게 하지 못한다”며 “현장에 답이 있고 중앙정부가 해결할 수 없는 일이 많은데 나는 손발이 다 묶여 있다”고 한탄했다. 이어 “소수의 원칙을 빼고 나머지 규제를 다 풀어주면 몇 배의 도시경쟁력으로 보답하겠다”고 밝혔다.

박 시장은 서울시장 선거의 핵심 이슈인 미세먼지 대책에 대해서는 “사회 체제가 고도성장 시기에 맞춰져 있어 이런 것을 바꾸지 않고는 대책 마련이 쉽지 않다”고 인정했다. 다만 재임기간 내내 나무심기와 보행자친화도시 건설, 자전거 보급 등 다양한 방법으로 미세먼지 저감을 추진해왔다고 강조했다. 특히 “서울에 지난 7년간 나무 1200만 그루 심었다. 3선을 하면 800만 그루를 더 심어 2000만 그루를 채우겠다”고 말했다. 또 서울의 미래 먹거리로 ‘관광과 마이스터’ ‘도심제조업(디자인과 메이커 문화 결합)’ ‘연구·개발(R&D)’ ‘애니메이션·패션 등 문화콘텐츠’ ‘바이오메디컬’ 5개 분야를 집중 육성할 방침이다.

박 시장은 안철수 바른미래당 서울시장 후보 출마로 불거진 양보론과 관련, ”당도, 가는 길도 달라진 안 후보에게 양보한다는 것이 말이 안된다”고 말했다. 3선 도전에 성공한 이후 대선에 나설 것인가라는 질문에는 “지금은 문재인정부 성공과 서울을 최고의 도시로 만드는 것 외에는 관심이 없다”고 말했다.









노용택 최승욱 기자 nyt@kmib.co.kr

사진=최종학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