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로 자전거전용차로 개통… 안전성 이상없나

입력 2018-04-08 23:33
종로 자전거전용차로 개통을 기념해 8일 서울 세종로 광화문우체국 앞에서 열린 자전거 퍼레이드에 참가한 박원순 서울시장(앞줄 오른쪽 세 번째)과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오른쪽 네 번째) 등 참석자들이 자전거를 타고 있다. 최종학 선임기자
서울 도심 한복판을 가로지르는 종로 일대 자전거전용차로가 8일 개통됐다. 서울시는 전용도로 설치를 위한 도로 폭이 충분치 않아 분리대나 경계석을 없앤 대신 자동차 최대 주행 속도를 낮추고 도로 LED 매립등을 설치해 주행 안전성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서울시는 종로1가부터 종로5가까지 2.6㎞구간을 잇는 자전거전용차로를 이날 개통했다. 그동안 서울 곳곳에 자전거 전용도로가 설치돼 있었지만 각 전용도로간 연결이 제대로 되지 않아 사고가 발생해왔다. 서울시는 종로와 청계천 자전거 전용도로를 연결하고 2단계로는 도심∼여의도∼강남 연계, 3단계로 강남권역 일대 단절된 자전거도로를 잇는 작업도 추진해 자전거가 실질적인 교통수단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이날 개통된 종로 자전거전용차로는 기존 전용도로와 달리 분리대나 경계석이 없어 안전성 우려도 나온다. 자전거전용도로는 안전시설을 확보하기 위한 1.2∼1.5m 가량의 도로 폭이 추가로 필요하지만 종로 일대는 도로 폭이 모자라 차로로 설치됐다.

분리대나 경계석이 없어 자동차 침범 우려가 일자 경찰에서도 초기 안전문제를 계속 지적해왔던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시 관계자는 “설계 당시부터 서울지방경찰청과 한국도로교통공단, 자전거동호회 회원들을 참여시켜 안전성 검토를 해왔다”고 설명했다.

자전거동호회 회원들의 의견도 적극 반영됐다. 이들은 분리대나 경계석을 최소화해 달라는 의견을 서울시에 전달했다. 자전거도로가 차도와 분리되면 제설 작업이 어렵고 염화칼슘으로 인한 부식이 일반 도로보다 심해 주행 중 사고 위험이 높아진다는 이유에서였다. 서울시는 경찰과 교통공단과의 논의를 거쳐 우회전 차량과의 충돌 우려 지점 등 필요한 공간에만 분리대와 경계석을 설치한다는 방침이다.

서울시는 자전거로 출·퇴근하는 사람들을 뜻하는 ‘자출족’의 안전을 위해 야간에도 쉽게 눈에 띌 수 있도록 전 구간에 태양광 LED 표지를 설치했다. 또 종로의 자동차 최대 주행 속도를 시속 60㎞에서 50㎞로 하향 조정했다.

자전거전용차로는 도로교통법상 버스전용차로와 같은 전용차로로 분류돼 위반할 경우 이륜차(오토바이)는 4만원, 자가용은 5만원, 승합차는 6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서울시는 3개월 동안 계도기간을 거쳐 오는 7월 1일부터 CCTV로 강력 단속한다는 계획이다. 자동차보다는 오토바이 침범 우려가 높을 것으로 보고 단속 시스템도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또 시민신고 장려를 위해 신고포상금제도 추진할 방침이다.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

사진=최종학 선임기자

그래픽=공희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