南 선발대, 금강산 공연장소·마식령스키장 점검한다

입력 2018-01-23 19:10 수정 2018-01-23 22:08
이주태 통일부 교류협력국장 등 우리 측 사전점검단 12명을 태운 미니버스가 23일 오전 강원도 고성 동해선 육로를 통해 북한 금강산지구로 향하고 있다. 사전점검단은 평창 동계올림픽을 기념해 열리는 금강산 남북 합동문화행사와 마식령스키장 스키선수 공동훈련 준비를 위해 25일까지 금강산, 마식령스키장, 원산 갈마비행장을 둘러본다. 뉴시스
이주태 통일부 교류협력국장(앞줄 오른쪽 두 번째)을 비롯한 남측 선발대가 23일 강원도 고성의 동해선 남북출입사무소에서 북측으로 걸음을 옮기고 있다. 선발대는 25일까지 금강산, 마식령스키장, 원산 갈마비행장을 둘러볼 예정이다. 뉴시스
금강산 남북 합동문화행사와 마식령스키장 스키선수 공동훈련을 준비하기 위한 우리 측 선발대가 23일 육로로 방북했다.

이주태 통일부 교류협력국장 등 선발대 12명은 오전 10시 동해선 남북출입사무소(CIQ)를 거쳐 북측 지역으로 들어갔다. 동해선 육로가 다시 열린 것은 2015년 10월 이산가족 상봉 행사 이후 2년3개월 만이다. 통일부, 문화체육관광부, 스키협회 관계자로 구성된 점검단은 25일까지 2박3일간 북측 지역에 머물며 금강산과 마식령스키장, 원산 갈마비행장을 돌아볼 예정이다.

선발대는 이날 오전 남북 합동문화행사 후보지인 금강산 지역을 들른 뒤 오후에 마식령스키장으로 이동했다. 마식령스키장 슬로프 상태와 함께 우리 측 선수들이 숙소로 사용할 마식령호텔 시설도 점검했다. 정부와 점검단 간 소통을 위해 마식령호텔에는 남북 직통전화도 설치됐다.

정부 고위 당국자는 “북측이 참가하는 평창 동계올림픽 스키 종목은 알파인과 크로스컨트리”라며 “마식령스키장에서 두 종목 모두 훈련이 가능할지 점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결과를 종합적으로 보고 합동문화행사와 스키훈련, 항공기 운항을 최종 판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조선적(朝鮮籍) 재일동포의 입국 허가 절차를 간소화하도록 여행증명서 발급 지침을 개정, 최근 시행에 들어갔다. 조선적 동포는 일제 패망 후 남북과 일본 중 어느 쪽 국적도 택하지 않은 사람들이다. 무국적자인 탓에 여권을 발급받을 수 없어 방한을 위해서는 우리 재외공관에서 여행허가서를 받아야 한다. 새 지침은 여행허가서 거부 사유를 국가안보 위해 소지와 서류 미비로 한정하고 발급 기간은 8일 이내로 정했다. 조선총련 소속 평창 동계올림픽 응원단의 입국이 원활해질 전망이다.

조성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