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자살자에 대한 심리적 부검에 더 관심 가져야

입력 2018-01-22 18:39
정부와 더불어민주당이 22일 자살률, 교통사고율, 산재사망률을 2022년까지 절반 수준으로 낮추기 위한 관련 대책을 내놓았다. 이른바 ‘국민생명 지키기 3대 프로젝트’를 추진키로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자살예방 국가행동계획, 교통안전 종합대책, 산업재해 사망사고 감소 대책을 마련했다. 자살과 교통사고, 산재는 삶의 질을 나타내는 지표다. 자살률이 높거나 교통사고와 산재가 많이 발생하는 나라의 국민은 결코 행복하지 않다. 정부와 정치권이 국민생명과 직결된 분야에 역량을 모으겠다는 것은 바람직하다. 다만 이런 계획들이 선언에 그치지 않고 구체적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법과 제도로 뒷받침하려는 행동이 뒤따라야 한다.

세계 최고의 자살국가라는 오명을 갖고 있는 우리로서는 이번 정책을 통해 실질적인 자살 감소 효과를 거둬야 할 것이다. 당정이 자살 예방 게이트키퍼를 대거 양성하는 등 전문 인력을 확충키로 한 것은 올바른 접근이다. 그러나 가장 역점을 둬야 할 부분은 자살자에 대한 심리적 부검에 더 많은 관심을 갖는 것이다. 심리적 부검은 자살자의 자료 분석과 주변 사람 면담 등을 통해 자살의 근거를 규명하는 작업으로 이를 통해 자살률을 크게 줄였다는 실증적 통계가 이미 나와 있다. 이는 자살 예방의 첫걸음이란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언론 스스로 자살 보도를 자제하려는 성찰적 자세 또한 요구된다.

교통사고와 산업재해는 전형적인 후진국형 폐단이다. 미비한 관련 규정을 보완하는 것 못지않게 안전의식을 고양하려는 국민들의 각성이 선행돼야 줄일 수 있다. 비용과 불편이 따르지만 원칙을 지키지 않고는 안전한 대한민국을 약속받을 수 없다는 공감대가 뿌리내려야 한다. 국민의 안전은 공적 제도를 기반으로 하되 사회 구성원의 실천 의지가 수반돼야 비로소 성과를 거둘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