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고위급회담 정례화 추진… 北 영유아 인도적 지원

입력 2018-01-19 18:39 수정 2018-01-19 21:42
이낙연 국무총리가 1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외교안보 부처의 2018년 업무보고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이 총리 왼쪽에 강경화 외교부 장관, 오른쪽 김태년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 뉴시스

정부가 남북 간 주요 현안을 포괄적으로 협의하기 위한 고위급 회담 정례화를 추진한다. 대북 인도적 지원과 민간 차원의 남북 교류도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통일부는 1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 올해 외교안보 부처 업무보고에서 이같이 밝혔다.

통일부는 남북회담의 정례화, 체계화를 위해 후속 남북 고위급 회담을 개최하겠다고 보고했다. 이 자리에서 회담 정례화를 북측과 논의하겠다는 계획이다. 남북은 지난 9일 고위급 회담에서 ‘고위급 회담과 각 분야의 회담’을 열기로 했지만 회담 정례화까지는 합의하지 못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남북회담 정례화는 전략적 목표라고 할 수 있다”며 “회담 정례화는 북한이라는 상대가 있는 문제다. 북한하고 잘 논의해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통일부는 남북대화를 계기로 한반도 비핵화 문제를 해결토록 북측에 지속적으로 촉구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남북대화와 비핵화 대화가 선순환 구조에서 이뤄지도록 하겠다는 계획이다. 또 국민적 합의를 바탕으로 과거 남북 합의를 법제화해 남북관계 발전의 토대를 마련키로 했다.

통일부는 유엔인구기금(UNFPA)의 ‘2018 북한 인구 총조사’를 지원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조사 결과를 한반도 인구 규모 예측 등에 활용하기 위해서다. 북한 인구 총조사는 지난해 1월 착수해 2020년 12월까지 4년간 진행하는 사업이다. 지난해 결정했으나 실행에 옮기지 못한 대북 임산부·영유아 영양 지원도 올해 안에는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외교부는 남북 대화가 북·미 대화로 이어지도록 외교적 노력을 경주하겠다고 밝혔다.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양자 및 다자 협의도 확대할 방침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업무보고 후 “한·미, 한·미·중, 한·미·일 협의 등에 순서가 있다기보다 6자회담의 틀에서 가장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범위를 넓혀나가겠다는 구상”이라고 설명했다.

업무보고에선 남북 단일팀 구성과 개회식 공동입장 추진 과정에서 국민의 이해를 구하는 소통이 부족했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