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료 요금 세 번째날 대중교통 이용객 10만명 늘었다

입력 2018-01-18 18:48 수정 2018-01-18 21:30
초미세먼지와 황사가 기승을 부린 18일 서울 광진구 어린이대공원에 나들이 나온 한 시민이 딸에게 마스크를 씌워주고 있다. 윤성호 기자

서울시 미세먼지 비상조치

도로교통량은 3000대 감소

환경단체 “차량2부제
민간부문까지 확대해야”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에 따른 서울시의 대중교통 요금 무료화가 세 번째로 시행된 18일 출근시간대 시내버스와 지하철 이용객은 10만명 늘었고, 도로교통량은 3000여대 줄었다.

서울시 집계에 따르면 18일 출근시간대 시내버스 이용객은 전주 같은 요일에 비해 5.9% 증가했다. 인원으로 보면 5만3239명 늘었다. 출근시간대 시내버스 이용객은 대중교통 무료 시행 첫날인 15일에는 증가율이 0.05%에 불과했고, 두 번째 무료 시행일인 17일에는 증가율 3.2%를 기록했다.

18일 출근시간대 지하철 이용객은 4.8%, 4만9629명 늘었다. 15일과 17일 출근시간대 지하철 이용객 증가율 2.1%에 비해 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서울시내 14개 지점에서 측정한 출근시간대 도로교통량 감소 수치는 15일 1.8%, 17일 1.7%를 기록한 데 이어 18일에는 2.4%로 집계됐다. 18일 출근시간대 교통량은 2주 전 동일 요일에 비해 3170대 줄었다.

출퇴근시간대를 통합한 도로교통량은 15일 0.3% 감소에 그쳤으나 17일에는 1.7% 줄었다. 17일 출퇴근시간대 교통량은 25만5578대였으며, 1주 전과 비교하면 4507대 감소한 것이다.

서울시는 “대중교통 요금 무료 시행 횟수가 거듭될수록 시민들의 참여가 늘면서 대중교통 이용 승객 수와 도로교통량 감소 수치는 나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1회 시행에 약 50억원이 드는 대중교통 무료화는 효과적이지 않고 지속 가능하지도 않다며 방향 선회를 주문하는 목소리도 계속 이어지고 있다.

환경단체들은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가 연속되자 차량 2부제의 민간 확대를 촉구하고 나섰다. 서울환경운동연합은 이날 광화문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수도권 전체 차량의 극히 일부에 불과한 공공기관 중심의 차량 2부제 시행으로는 국민 건강을 지킬 수 없다”며 “공공기관 중심의 차량 2부제를 민간 부문으로 조속히 확대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미세먼지 주무 부처인 환경부도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 발령에 따른 실효성 논란 등이 제기되고 있어 관련 부처, 지자체, 국회 등과 비상저감조치 개선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전날 밝혔다. 서울시와 경기도, 인천시는 환경국장회의를 갖고 공동 대책 마련에 나섰다.

겨울 황사에 중국발 스모그까지 국내로 유입되면서 전국이 며칠간 미세먼지로 몸살을 앓은 가운데 다행히 19일에는 서울과 인천의 초미세먼지 농도가 ‘보통’으로 예보돼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는 18일 오후 9시를 기해 해제됐다.

글=김남중 손재호 기자 njkim@kmib.co.kr, 사진=윤성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