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서 불법자금 수수 혐의
5억∼6억원 이상 흘러 들어간 듯
민간인 사찰 폭로 저지 사용 포착
MB측 “명백한 정치보복” 반발
검찰이 김백준(78·사진) 전 청와대 총무기획관 등 이명박(MB)정부 청와대 핵심 관계자들이 국가정보원으로부터 불법자금을 수수한 혐의를 포착하고 전격 수사에 들어갔다. 검찰은 이 자금 중 일부가 MB정부 시절 국무총리실 민간인 사찰 사건 폭로를 막는 데 쓰였다는 정황도 조사 중이다. 국정원 특수활동비 수사가 박근혜정부를 넘어 MB정부 청와대로까지 확대되는 양상이다.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부장검사 송경호)는 12일 김 전 총무기획관과 김희중(50) 전 제1부속실장, 김진모(52) 전 민정2비서관의 집과 사무실 등을 동시에 압수수색했다. 이들은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뇌물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은 압수수색과 동시에 김 전 실장과 김 전 비서관 등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국정원으로부터 불법자금을 받았는지 여부와 수수 경위, 사용처 등을 집중 조사했다. 김 전 기획관은 이날 검찰 소환 요구에 응하지 않았다. 검찰 관계자는 “원세훈 전 국정원장 등이 국정원 자금을 사적으로 사용한 혐의를 수사하는 과정에서 이 돈이 청와대 관계자들에게 불법적으로 전달된 단서를 포착해 수사에 들어갔다”고 말했다. 검찰은 원 전 원장 당시 국정원이 다수의 차명계좌를 개설해 뒷돈 제공 창구로 활용한 것으로 보고 자금 흐름을 조사해 왔다.
검찰은 청와대에 불법적으로 흘러들어간 국정원 자금이 5억∼6억원 이상인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 돈이 어디까지 전달됐는지와 사용처 규명에 수사력을 모으고 있다.
청와대에 상납된 국정원 특활비 일부가 당시 논란이 됐던 민간인 사찰 사건을 덮는 데 쓰였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2012년 국무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의 민간인 사찰 사건을 폭로했던 장진수 전 공직윤리지원실 주무관은 앞서 2011년 총리실 간부가 입막음하려 현금 5000만원을 줬다고 공개한 바 있다. 검찰도 청와대에 상납된 국정원 특활비가 쓰였을 가능성을 조사 중이다.
압수수색을 받은 3인은 MB정부 청와대 총무·민정 핵심 인사들이다. 이 전 대통령 측은“명백한 정치보복 수사”라고 반발했다. 이 전 대통령은 압수수색 소식에 측근들과 대책회의를 열었다. 그는 “청와대가 국정원 돈을 갖다 쓴다는 생각을 해본 적이 없다”며 격앙된 모습을 보였다고 참석자들은 전했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
檢의 칼날, MB에 좀 더 가까이… ‘집사’ 김백준 등 3인 압수수색
입력 2018-01-12 18:10 수정 2018-01-12 2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