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국 신임대사 신임장 수여
靑 “고위급회담 1차 목표는
北 평창 참가 수준 합의”
평창 참가 ‘큰 틀’ 합의 후
세부사항 논의 진행될 듯
문재인 대통령은 남북 고위급 회담을 하루 앞둔 8일 “남북 대화의 성공을 위해서 우방국들과의 협력, 국제사회의 폭넓은 지지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청와대에서 신임 대사에게 신임장을 수여한 뒤 “평창 동계올림픽에 많은 정상이 오기로 돼 있지만 더 많은 분들이 오시면 그만큼 평화올림픽으로 가는 데 기여할 것”이라며 “올림픽 기간 내 한국을 방문하는 많은 정상들과 각급의 정상외교도 펼쳐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평창올림픽을 남북 대화는 물론 국제사회의 지지를 이끌어내는 계기로 삼겠다는 취지다.
청와대는 고위급 회담 목표에 대해 “1차 목표는 북한의 평창올림픽 참가 수준에 남북이 원칙적으로 합의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개막식 남북 공동입장과 선수단 파견 규모 등 국제올림픽위원회(IOC)와 협의가 필요한 부분을 우선 논의한 뒤 자체 지원방안을 협의할 방침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고위급 회담인 만큼 상세한 실무 현안보다는 남북 간 원칙적 합의를 타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의 참가 규모가 확정돼야 올림픽 참가 세부사항 논의들을 진행할 수 있다. 개막식 남북 공동입장 여부, 선수단 파견 규모, 예선 탈락 종목의 와일드카드 출전 여부 등이 대상이다. 정부는 북한과 구체적인 사항을 논의한 뒤 IOC와 관련 논의를 진행할 방침이다.
이에 대한 원칙적 합의 후에는 정부 독자적인 지원방안을 협의할 예정이다. 구체적으로는 북한의 응원단 파견 여부, 선수지원단 파견 규모 등이 대상이다. 숙소와 경비, 경호 문제 등을 논의하기 위한 절차다.
청와대는 이날 문재인정부 출범 이후 첫 남북회담 준비를 위해 분주한 하루를 보냈다. 문 대통령이 주재한 수석보좌관회의에서는 남북회담 준비사항 종합보고가 이뤄졌다. 문 대통령은 직접 준비상황을 챙긴 뒤 회담 방향과 당부사항 등을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는 7일 통일부로부터 남북 고위급 회담의 다양한 시나리오를 보고받았다. 평창올림픽 참가 합의는 물론 추가적인 남북관계 제안 여부 등을 반영한 여러 상황을 가정해 대응방안을 검토했다.
특히 북한이 첫 테이블에서부터 금강산 관광 및 개성공단 재개 등을 요구할 경우 대응조치도 점검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관계자는 “평창올림픽 논의가 순조롭게 이뤄질 경우 남북관계에 대한 논의가 이뤄질 가능성도 열려 있다”면서 “다만 남북 간 현안을 먼저 테이블 위에 올려놓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판문점 연락채널을 통해 받은 북한 고위급 대표단의 신상정보 등도 보고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문 대통령은 회담 이튿날인 10일 예정된 신년 기자회견에서도 남북관계 진전을 통해 북·미 대화 등 북핵 문제 출구를 열기 위한 구상을 직접 밝힐 전망이다. 또 한·일 위안부 합의 후속조치 등 올해 외교안보 구상을 밝히고 개헌 문제를 비롯한 국내 현안 구상도 언급할 것으로 관측된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
文 대통령 “남북대화 성공 위해 국제사회 지지 필요”
입력 2018-01-08 19:23 수정 2018-01-08 2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