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여야 국회의원 60여명이 5일 야스쿠니 신사를 집단 참배했다. 대리 참배한 의원까지 포함하면 130명을 넘는다. 장관급은 없지만 차관급인 아베 신조 총리의 보좌관도 참배했다. 야스쿠니 신사는 도조 히데키 전 총리 등 2차대전 A급 전범 14명의 위패가 안치된 일본 군국주의의 상징이다. 매년 무한 반복되는 고집불통 행보다. 군국주의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하고, 침략 역사를 반성하지 않는 그들이다. 세계 평화 운운하면서 전범 참배를 계속하는 것은 정의에 대한 도전이자 평화에 대한 모독이다.
일본 정부의 이중성 또한 여전하다. 일본이 재작년 세계유산으로 등재시킨 군함도 등 자국 산업 시설과 관련해 최근 유네스코에 제출한 보고서에는 강제(forced)라는 단어가 없다. 강제 징용돼 노역한 조선인 근로자들이 국가총동원법에 따라 일본 산업을 지원했다고 묘사했다. 강제 징용을 일본 국내법에 따른 합법적 노동으로 기술한 것이다. 등재 추진 당시 강제 노역 실상이 담긴 정보를 솔직하게 밝히겠다고 한 약속을 헌신짝처럼 내버린 것이다. 산업유산정보센터를 해당 시설이 있는 곳이 아닌 1000㎞ 이상 떨어진 도쿄에 설치키로 한 계획도 전혀 진정성이 느껴지지 않는다. 해당 시설의 부정적 역사를 감추려는 꼼수로밖에 볼 수 없다.
한·일 관계가 과거사에 계속 발목 잡혀 있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북한 핵·미사일 위협에 공동 대처해야 할 상황이기에 더욱 그러하다. 그러나 현재와 미래가 중요하다고 해서 과거사를 무조건 외면하고 덮고 갈 수는 없다. 오히려 역사의 짐을 풀어야만 건전한 미래를 대할 수 있다. 야스쿠니 신사에 스스로 발목을 묶고 있는 일본 정부와 정치인들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진정성 있는 성찰과 반성을 행동으로 보여줄 때다. 그래야만 진정한 의미의 정상 국가가 될 수 있다. 침략 역사를 왜곡하고 은폐하려는 시도를 계속한다면 미래를 이야기할 자격이 없다.
[사설] 日 의원 야스쿠니 집단 참배, 평화에 대한 모독이다
입력 2017-12-05 17: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