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계란 유통 과정에 사재기, 가격 담합 등 불공정 행위가 있었는지 실태조사에 나선다.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여파로 산란계 도살처분이 늘어난 영향도 있겠지만, 매점매석 행위가 계란값 폭등을 부추기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어서다.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22일 “계란 사재기 등에 대한 사전조사가 필요하다고 판단돼 실무 차원에서 공정거래위원회에 협조 요청을 한 상태”라고 밝혔다.
AI 확산 이후 계란 가격은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집계 기준을 보면 이날 현재 계란(특란) 한판(30알) 소매가격은 평균 7037원으로, 평년(5662원)보다 24.2% 높다. 일부 지역에 있는 유통업체에서는 한판에 8500원까지 치솟은 것으로 집계됐다.
국내에서 생산되는 계란은 60% 이상이 농가에서 수집판매상을 거쳐 유통된다. 수집판매상들은 통상 산란계 농장에서 계란을 사들여 대형매장과 제빵업체 등에 납품한다. 업계에선 일부 수집판매상이 농가에서 계란을 대량 사재기한 뒤 바로 시장에 풀지 않고 있다고 의심하고 있다.
세종=이성규 기자
계란 사재기·가격 담합 여부 조사키로
입력 2016-12-23 0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