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 대선주자들이 일제히 국회에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탄핵 추진을 주문했다. 대통령이 촉발시킨 개헌 논의 역시 ‘시기상조’라는 비판이 지배적이다.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는 30일 강원도 원주 상지대를 방문해 “박 대통령은 ‘임기 단축’이란 공허한 말로 개헌 논의를 불러일으키고 있다”면서 “국민은 촛불로, 국회는 탄핵으로 대통령을 퇴진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온 국민이 대통령의 퇴진을 요구하는 이 시기에 개헌과 정계개편으로 집권 연장을 꾀하는 사람들이 있다”고 비판했다. 문 전 대표는 차기 정부가 개헌을 추진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는 이어진 강원지역 언론 기자간담회에선 “대단한 국가적 위기상황이지만 또 하나의 기회일 수도 있다. 미완의 시민혁명을 이제야말로 제대로 완성할 때”라고 말했다.
국민의당 안철수 전 공동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국회의원 연석회의에서 “탄핵의 주도권은 국회가 아닌 국민이 가지고 있다”며 “하루라도 빨리 탄핵안이 상정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2일 본회의 상정을 포기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 새누리당과의 ‘질서 있는 퇴진’ 협상에 대해서는 “박 대통령이 물러날 시기를 (먼저)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
안희정 충남지사는 라디오 방송에서 “박 대통령이 무엇을 잘못했느냐고 버티는 집권여당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국회에 퇴진 일정을 맡기겠다는 건 당장 탄핵을 피해보자는 것”이라며 “대통령의 헌법·법률 위반에 대해 국회는 탄핵해야 할 의무가 있다”고 말했다. 개헌 논의에 대해서는 “이런 국면에서 개헌 논의를 시작해도 시일이 촉박해 책임 있게 논의할 수 없다”면서 “개헌은 개헌대로 졸속이 되고, 국면은 국면대로 어려워져 혼란만 야기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정치 엘리트, 여의도 정치인의 권력분점용 헌법이 돼선 안 된다. 편의적으로 개헌 문제에 접근해선 안 된다”고 덧붙였다.
김부겸 민주당 의원도 라디오방송에 출연해 “기득권 체제를 바꾸기 위해선 개헌이 최고의 방법”이라면서도 “지금은 때가 아니다”며 비판적 입장을 드러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
야권 주자들 일제히 “탄핵 먼저… 개헌은 시기상조”
입력 2016-11-30 18:03 수정 2016-11-30 2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