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비주류들의 머릿속은 복잡해졌다. 박근혜 대통령이 직에서 물러나겠다는 의사만 밝혔을 뿐 방식과 시기에 대한 결정을 국회에 던졌기 때문이다. 탄핵소추안을 처리한 뒤 친박(친박근혜) 인적 쇄신 등 당 개혁에 몰두하려 했던 일정 차질도 불가피해졌다.
새누리당 김무성 전 대표 등 비주류 의원들은 29일 박 대통령의 3차 담화 직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긴급 회동을 갖고 대응 전략을 모색했지만 결론을 내지 못했다. 당장 정진석 원내대표부터 “야당에 탄핵 일정 원점 재검토를 요구하고 싶다”며 일정 연기를 요청하고 나섰다.
일단 나경원 의원은 “탄핵에 대한 기존 입장이 달라진 게 없다”며 “여야가 합의해 탄핵 절차를 진행하겠다”며 강행 의지를 밝혔다. 무소속 김용태 의원도 “박 대통령은 지금도 자신의 처지를 모면하기 위해 애쓰고 있다. 국회에 어물쩍 공을 넘겨 시간을 끌 수 있다고 생각하나본데 어림없는 소리”라며 비판했다. 그는 “법 안 지키는 대통령에게 맞서 법 만드는 국회는 법대로 하자”며 “정기국회 안에 바로 탄핵을 의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남경필 경기지사도 기자회견을 갖고 “국회는 계획대로 12월 9일까지 탄핵을 해야 한다. 달라진 게 없다”며 “탄핵 찬성 입장을 밝힌 새누리당 의원들이 흔들려선 안 된다”고 했다.
하태경 의원은 “12월 2일 국회에서 하야촉구결의안을 통과시키자”며 “대통령이 수용하지 않으면 그때는 탄핵할 수밖에 없다”고 제안하기도 했다.
이진복 의원은 회동 후 “논의는 했지만 변수가 너무 많아 더 이야기해보기로 했다”며 “대통령 담화문을 액면 그대로 믿을 수 없다는 말도 나왔다”고 했다. 친박계와 박 대통령의 ‘로드맵 하야’ 카드에 비주류 초·재선 의원 일부도 동의하고 나서면서 혼란상이 연출될 우려가 커진 셈이다.
황영철 의원도 “입장이 엇갈릴 것으로 보고 있다. 당장 한 입장으로 분명히 나오긴 어렵고 많은 논쟁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그는 “대통령이 내린 결단의 방식을 국회에서 이른 시일 내 결정해줘야 하는데 그렇지 못할 경우 국회가 더 지탄받는 상황이 될 수 있다”며 “국회 하기에 따라 약이 될 수도, 독이 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
스텝 꼬인 새누리 비주류
입력 2016-11-29 1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