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마리 토끼’를 잡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신약 후보물질이 우리나라 연구진에 의해 세계 처음으로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치매DTC융합연구단 김영수·양승훈 박사팀은 알츠하이머병의 원인인 ‘베타 아밀로이드’와 ‘타우’ 단백질의 이상 현상을 동시에 억제하는 신약 물질 ‘네크로스타틴-원’을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알츠하이머병은 현대인의 10대 사망 원인 중 유일하게 예방 및 치료법이 없는 퇴행성 뇌질환이다. 치매의 60∼80%를 차지한다. 이 병은 뇌에 베타 아밀로이드와 타우 단백질이 지나치게 쌓이면서 뇌신경세포를 사멸시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이 두 단백질을 각각 표적으로 한 약물이 개발됐으나 연이은 임상시험 실패로 학계와 산업계 전문가들은 두 개 학파로 나뉘어 어떤 단백질을 조절해야 알츠하이머병 치료가 가능한지 20년 넘게 치열한 논쟁을 벌여 왔다.
이런 상황에서 KIST 연구진은 ‘네크로스타틴-원’을 알츠하이머병 실험쥐에게 3개월간 투여했더니 인지 능력을 관장하는 뇌의 해마와 대뇌피질 부위에 있는 베타 아밀로이드와 타우 단백질 응집체가 모두 제거된 것을 발견했다.
김영수 박사는 “베타 아밀로이드와 타우 단백질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 획기적 신약 후보물질”이라면서 ”오랜 논쟁의 대상인 ‘아밀로이드 VS 타우’ 가설에 종지부를 찍을 수 있는 새로운 치료 전략을 제시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엠보 분자의학’ 최신호에 게재됐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
알츠하이머성 치매 신약 후보물질 찾았다
입력 2016-11-21 2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