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영주에 사는 권필주(61·여)씨는 때아닌 영어 공부에 한창이다. 입양된 친아들 애덤 크랩서(41·한국명 신송혁)의 강제송환 때문이다.
16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는 권씨와 크랩서 모자의 가슴 아픈 사연을 보도했다. 1979년 세 살배기 크랩서는 미국 미시간주의 한 가정에 입양됐다. 5년 동안 성폭행에 시달리다 결국 파양됐다. 1년 뒤 다시 입양된 오리건주의 양부모 가정에서도 성폭행과 학대는 이어졌다. 양부모가 구속된 뒤 기댈 곳 없던 크랩서는 노숙 생활을 전전했다.
불운은 이어졌다. 미국 이민법원은 지난달 말 크랩서를 추방키로 결정했다. 40년 가까이 살았지만 미국 사회에서 크랩서는 불법체류자일 뿐이었다. 양부모가 시민권을 신청하지 않은 탓이다. 크랩서의 세 딸 역시 함께 추방될 위기에 처했다.
권씨는 지난해 한 다큐멘터리 방송을 통해 아들의 사연을 30여년 만에 접했다. 아들이 미국에 입양된 사실도 몰랐던 권씨는 NYT에 “같이 굶어 죽더라도 함께 살았어야 했다”며 “아들이 그렇게 힘들게 살고 있을 줄은 상상도 못했다. 용서받지 못할 죄를 지었다”며 울부짖었다. 권씨는 남편의 폭력에 시달리다 입양을 주선하는 보육원에 크랩서를 보낸 과거를 후회했다.
정규 교육을 받지 못한 권씨는 영어를 배우기로 했다. 헷갈리기만 한 알파벳을 더듬더듬 노트에 베껴 쓰고 있다. 아들에게 미안한 마음을 전하고 자신의 삶에 대해 설명하고 싶어서다. 권씨는 “아들에게 할 말이 너무 많다”며 “나는 영어를 모르고 아들은 한국어를 모르니 어떡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말을 잇지 못했다. 권씨는 조만간 한국으로 송환될 아들을 위해 작은 방을 치워놓았다.
NYT는 “한국에서 생모가 기다리고 있는 크랩서는 그나마 낫다. 미국의 수많은 입양아가 한국에 있을 친부모를 애타게 찾고 있다”고 보도했다.
신훈 기자 zorba@kmib.co.kr
美서 추방될 아들 기다리며 눈물로 영어 배우는 韓 생모
입력 2016-11-17 2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