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사드, 성주 어디든 효용성 떨어지지 않는다”

입력 2016-08-18 18:17
18일 오후 경북 성주군청 대강당에서 열린 성주 사드 배치 철회투쟁위원회와 주민 사이 간담회에서 한 주민이 발언하고 있다. 사드 배치 철회를 주장하는 투쟁위와 제3후보지를 빨리 찾자는 일부 주민들 간에 격론이 오갔다. 뉴시스

국방부는 18일 미국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가 성주 내 다른 지역에 배치돼도 군사적 효용성에는 큰 차이가 없다고 밝혔다. 이는 국방부가 기존에 결정된 성산포대만 고집하지는 않겠다는 의미여서 성주군의 공식 요청이 있다면 제3후보지 선정에 적극적으로 임할 것이라는 의미로 해석된다.

문상균 국방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성산포대로 결정하게 된 데는 6가지 요건이 있었고 이 중 군사적 효용성이 최우선적이었다”며 “하지만 성주군 내라면 어디에 배치돼도 군사적 효용성이 떨어지지 않는다”고 말했다.

국방부는 공식 요청이 오면 곧바로 검토에 들어가겠다는 입장이다. 국방부는 이미 실무진을 파견해 금수면 염속산과 수륜면 까치산 등 과거 대체 지역으로 거론된 부지를 점검했다. 또 박근혜 대통령이 ‘제3후보지’를 언급하자 신속하게 성주 초전면 롯데스카이힐 골프장 지역을 현장답사하기도 했다. 염속산과 까치산은 부적합하다는 결론이 났지만 롯데스카이힐 골프장은 가능성이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날 오후 2시 성주군청 1층 대강당에서 열린 ‘성주 사드배치 철회투쟁위원회와 주민간담회’에서는 의견이 첨예하게 갈려 결론을 내지 못했다. 사드 배치 반대 의견이 나올 때는 뜨거운 박수가 터져 나왔지만 제3후보지 필요성이 제기될 때는 야유가 쏟아졌다.

사드 배치를 반대하는 주민들은 “(사드가) 어느 곳에 배치되든 피해를 보는 것은 성주군민”이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이들은 제3후보지 이야기가 나오는 것은 ‘정부가 군민들을 분열시키려는 계략’이라고 비판했다. 초전면에서 온 이모씨는 “제3후보지 이야기는 김관용 경북도지사, 이완영 국회의원이 한 것이고 한두 명이 산다고 해도 피해를 보는 것은 마찬가지”라며 “절대 배치돼서는 안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반면 지역 경제사정과 국가안보를 위해 제3의 후보지를 허용해야 한다는 의견도 만만치 않았다. 성주읍에 살고 있는 박모씨는 “국가를 상대로 이길 수 있겠느냐”며 “밥을 먹고 자녀들 공부시키려면 대통령이 제3부지 이야기할 때 현실적으로 가자”고 주장했다. 안보 관련 단체 회원이라고 밝힌 김모씨도 “북한 때문에 사드를 배치하는 것 아니냐”며 “안보 없이는 아무것도 없기 때문에 제3후보지를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투쟁위는 조만간 군민 의견을 종합해 입장을 발표할 방침이다. 제3후보지를 지지하는 군민이 늘고 있어 사드 배치를 반대해 온 투쟁위 입장에 변화가 있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재경성주군향우회 80여명은 성주군청 앞에서 제3후보지 선정을 촉구했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성주=최일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