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사드 보복 워밍업?

입력 2016-08-03 00:33
중국이 사드 한반도 배치를 막기 위해 전방위 공세를 펴고 있다. 남중국해 분쟁이 잠시 소강상태에 들어가면서 화력을 사드로 돌리는 모양새다. 일단 중국과 한국의 반(反)사드 여론몰이에 나서면서 내년 말로 예정된 최종 배치까지 압박 강도를 높여가겠다는 전략으로 보인다.

중국은 정부는 뒤로 물러서고 관영매체들이 앞장서서 사드 때리기에 나서는 전략을 쓰고 있다. 그동안 ‘사드 배치는 동북아 평화를 위협한다’는 정도의 비교적 점잖은 목소리를 유지했던 인민일보는 1일 “한국이 자발적으로 미국의 앞잡이가 됐다”며 “사드 배치는 자기파멸을 초래할 것”이라고 노골적인 협박에 나섰다. 2일에도 러시아 전문가를 동원해 사드 배치를 비판했다. 인민일보 해외판은 “사드 배치의 후과(後果·나쁜 결과)는 매우 엄중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중국 전문가를 총동원해 연일 거칠게 ‘한국 보복론’을 부추기는 환구시보는 2일 ‘중국인이 사드 이후 한국 여행을 취소하고 있다’는 기사를 내보냈다. 한국 자료를 인용해 올 상반기 한국 방문객 중 48.8%가 중국인이고, 한국 최대인 신라면세점의 매출액 중 65%가 중국인 관광객에 의한 것이라는 점을 부각시켰다. 환구시보는 “중국인 관광객이 계속 준다면 한국 소매업은 고통을 받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아직 중국의 구체적인 보복 움직임은 감지되지 않지만 국민정서와 민감한 분야에서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는 게 사실이다.

뉴스 포털 텅쉰망은 중국 영화방송업계 관계자를 인용, “한류스타가 출연해 촬영을 마친 작품은 방송을 보류한 채 지켜보고 있다. 촬영을 시작한 작품은 진행시킬 수밖에 없지만 계획 중인 것은 한류스타를 캐스팅하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베이징의 한국 관광업계 관계자는 “아직 여름 성수기라 관광객이 줄어드는 모습은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중국은 국민정서가 정치적 영향을 많이 받는다”면서 “양국 정부가 하루 빨리 사드 문제를 정리하지 못하고 장기화된다면 큰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관련기사 보기]


베이징=맹경환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