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김정은(얼굴) 노동당 위원장을 ‘국무위원장’으로 추대했다. 7차 노동당 대회 후 두 달여 만에 열린 이번 회의를 통해 김 위원장의 ‘대관식’도 사실상 완결됐다.
북한은 29일 최고인민회의 제13기 제4차 회의를 개최해 김 위원장의 정부 직책이었던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을 ‘국무위원회 위원장’으로 수정하는 내용의 사회주의헌법 수정안을 통과시켰다고 조선중앙TV가 보도했다.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은 “주체 조선의 상징이시며 모든 승리와 영광의 기치이신 김정은 동지를 공화국의 최고 수위에 모시고 사회주의 최후 승리를 앞당겨 나가는 건 온 나라 천만군대의 신념이며 확고부동한 의지”라고 밝혔다.
이어 “경애하는 동지를 최고 수위(首位)인 공화국 국무위원회 위원장으로 높이 추대할 것을 본 최고인민회의에 정중히 제의한다”고 말했다.
앞서 김 위원장은 지난달 초 열린 7차 노동당 대회에서 ‘당 제1비서’를 대체하는 ‘당 위원장’에 추대된 바 있다. 따라서 정부 직위인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 직위 또한 변동될 것이란 관측이 많았다. 선대인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영향이 남아 있는 이 직위를 새 직위로 대체함으로써 명실상부한 ‘김정은 시대’가 출범하게 됐다.
이번 결정으로 김 국방위원장 시절 최고 권력기구였던 국방위원회는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됐다. 군사기관 성격이 강했던 국방위원회가 국무위원회로 대체되면서 북한군 지위도 변화될 가능성이 높다. 사실상 비상체제였던 ‘선군(先軍)’ 정치에서 벗어나 ‘당의 군대’라는 전통적 성격이 강화될 수도 있다.
대남기구인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의 위상도 바뀌었다. 조선중앙TV는 이번 회의의 다섯 번째 의제가 ‘공화국 조국평화통일위원회를 내옴(조직함)에 대하여’였다고 밝혔다. 노동당 외곽기구였던 조평통을 정부 산하 단체로 편입시켜 남북관계를 ‘국가 대 국가’ 관계로 풀어가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아울러 지난 7차 당 대회 때 제시됐던 ‘국가경제발전 5개년 전략’을 달성하기 위한 방안도 논의됐다.
[관련기사 보기]
☞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
김정은 ‘국무위원장’ 추대… ‘대관식’ 완결
입력 2016-06-29 18:02 수정 2016-06-30 00: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