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국민의당의 하루는 급박했다. 왕주현 사무부총장이 검찰에 구속되자 안철수 공동대표를 비롯한 당 지도부는 오전 6시 긴급 최고위원회의를 열었다. 7시에 시작된 정책 워크숍 직후에는 긴급 의원총회를 소집했고, 1시간 넘게 진행된 의총에서도 결론이 나지 않자 지도부는 오후 재차 최고위와 의원총회를 열어 논의를 이어갔다. ‘지도부 총사퇴’부터 기존 입장 고수까지 많은 이야기가 오갔고, 결국 ‘관련자들을 당헌·당규에 따라 엄정 조치한다’는 과거와 같은 결론을 내렸다.
국민의당 지도부는 첫 번째 긴급 최고위에서 ‘리베이트 의혹’에 연루된 이들에 대한 사퇴 요구, 출당 조치 등 다양한 방안을 논의했다. 안 대표와 박지원 원내대표는 출당 조치를 주장했으나 천정배 공동대표와 김성식 정책위의장 등이 반대했다. 반대파는 “박선숙 김수민 의원을 출당 조치하더라도 이들이 의원직을 유지할 수 있어 또 다른 비판에 직면할 것이다” “출당 조치는 당헌·당규에 없는 내용이라 원칙을 훼손하는 것이다”는 등의 근거를 들었다.
결론이 나지 않자 지도부는 의총에서 관련 사안을 재논의키로 했다. 10여명의 의원들이 의총에서 발언했고 상당수는 사퇴·출당 조치에 대해 부정적 입장을 피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의당 관계자는 “일부 의원들이 출당 조치는 꼬리 자르기로 비칠 수 있다는 등 우려를 했다”고 전했다. 특히 법조인 출신 의원들은 “이 사건은 출당 조치까지 할 사안이 아니다”고 주장했다.
다만 의견이 명확히 한쪽으로 모이지 않고 상임위원회 전체회의 일정 등이 겹쳐 의총은 잠시 중단됐다. 안 대표는 오후 4시 재개된 의총 모두발언에서 “출당 조치와 같은 정치적 결단이 필요하며 저도 정치적 책임을 피하지 않겠다”는 취지로 말했지만 의원들 다수는 오전 의총 때와 비슷한 논리로 반대 의사를 밝혔다. 한 초선 의원은 “‘출당 조치 등 편법을 쓰지 말자. 당헌·당규에 따라 원칙대로 하자’는 의견이 압도적이었다”고 전했다.
국민의당은 결국 기존 입장을 따르기로 결론지었다. 안 대표는 브리핑에서 “과거 야당 탄압을 경계하면서 검찰 수사를 부정하던 관행도 과감하게 폐기하겠다”며 “사법기관이 아닌 정당이 구성원에게 내릴 수 있는 최고의 징계는 ‘권리 몰수’ ‘정당 퇴출’”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이 조치로 비판 여론을 잠재우기 역부족이라는 지적도 여전하다. 한 야당 관계자는 “‘제 식구 감싸기’라는 비판이 제기될 것”이라고 했고, 국민의당 당직자는 “당내 일부 의원들은 여전히 이 사건 자체를 가볍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따라서 안 대표를 포함한 ‘지도부 일괄 사퇴’를 비롯한 고강도 대응 여부를 두고는 여진이 지속될 전망이다. 국면 전환을 위해선 어떤 식으로든 지도부가 정치적 책임을 져야 한다는 의견이 적지 않아서다. 의혹 초기 대응이 미숙했던 것은 물론 총선 준비과정에서도 지도부가 철저하게 점검하지 않아 이번 사태가 벌어졌다는 당내 불만도 상당하다. 의총에서도 비슷한 의견이 나온 데다 안 대표도 이 문제에 대해 29일 최고위에서 재논의하자며 여지를 남겼다. 한 국민의당 의원은 “지도부가 스스로를 직을 던지는 식의 모습을 보여야 국면이 전환될 수 있다”고 했다.
[관련기사 보기]
☞
☞
☞
☞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
결론은 “당헌·당규대로”… 비판 여론 진화엔 역부족
입력 2016-06-29 00:45 수정 2016-06-29 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