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운호 160억 들인 지하철 매장 차질 빚자 전방위 로비

입력 2016-06-21 18:13 수정 2016-06-21 21:07
정운호(51) 네이처리퍼블릭 대표가 160억원을 투입했던 서울 지하철 매장사업 성사를 위해 벌인 ‘전방위 로비’의 내막이 드러나고 있다. 사업 입찰, 감사원 감사 및 계약 무산 위기 등 사업 중요 단계마다 현직 검사와 전관(前官) 변호사, 브로커 등을 동원한 로비로 상황을 돌파하려 했다는 게 검찰 판단이다.

서울메트로는 2009년 9월 70개 지하철역사 안에 있는 100개 매장을 묶어 임대하는 ‘명품브랜드 사업’ 입찰공고를 했다. 정 대표도 입찰에 참여했지만 설립 2개월 된 S사가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정 대표 측은 서울시·서울메트로 등에 부정 입찰 의혹을 제기하는 민원을 내기도 했지만, 계획을 수정해 2010년 1월 S사 지분 전체를 160억원에 매입했다. 정 대표는 같은 달 거물급 브로커 심모(62)씨에게 “100개 매장을 얻을 수 있도록 도와 달라”는 청탁과 함께 20억원을 준 것으로 2012년 조사되기도 했다.

그런데 감사원이 2010년 4월부터 지하철 임대사업 관련 비리 조사에 들어가면서 S사를 인수한 정 대표로서는 오히려 이를 막아야 할 처지가 됐다. 검찰은 정 대표가 감사원 감사 무마를 위해 박모(54) 부장검사에게 1억원을 준 혐의를 포착한 상태다. ‘정운호 법조비리’ 핵심브로커 이민희(56·구속기소)씨도 이때 등장한다. 이씨는 2009년에는 S사 낙찰 취소 로비 명목으로, 정 대표의 S사 인수 후에는 명품브랜드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한 고위 공무원 로비 명목으로 총 9억여원을 받아갔다.

그러나 감사원은 그해 10월 S사가 허위 입찰서류를 냈는데도 특혜를 줬다며 S사 김모(58) 회장과 담당 공무원을 수사 의뢰했다. 서울메트로는 2011년 6월 결국 임대차계약 해지를 통보했다.

정 대표는 대검찰청 기획조정부장에서 퇴직하고 막 개업했던 홍만표(57) 변호사에게 구원 요청을 했다. 그는 2011년 9월 “명품브랜드 사업에 차질이 생겼다. 해결해 달라”며 대관업무를 하는 지인을 통해 홍 변호사에게 2억원을 전달했다. 홍 변호사는 서울시·서울메트로 고위층, 시의회, 감사원 관계자 등에게 로비해 달라는 정 대표 측 요청을 승낙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호일 기자 blue51@kmib.co.kr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