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이야기] <74> 한국전쟁과 영화

입력 2016-06-13 17:56
한국전쟁 영화 ‘매쉬’ 포스터

또다시 6·25를 맞는다. 66년 전 북한 김일성이 일으킨, 그래서 ‘김일성의 난(亂)’이라고 부르는 게 옳다는 주장까지 나온 이 전쟁은 우리 민족사 최대 비극으로 지울 수 없는 트라우마를 남겼다. 매년 6·25가 되면 느끼는 것 중 하나는 볼 만한 ‘6·25 영화’가 없다는 점이다. 이상한 건 전쟁영화라면 사족을 못 쓰는 할리우드에서 ‘한국전쟁 영화’가 손꼽을 정도밖에 제작되지 않았다는 사실.

궁금하던 차에 흥미 있는 기사를 발견했다. ‘할리우드는 왜 한국전쟁이라는 깊은 물에 발 담그지 않는가’란 제목의 유에스에이투데이지의 분석기사였다. 이 신문이 스티븐 올포드 노바 사우스이스턴 대학 교수를 인용한 데 따르면 “한국전쟁은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자마자 발발했다. 2차대전 당시와 그 직후 할리우드는 전쟁영화를 대량으로 쏟아냈고, 그 결과 한국전쟁이 일어났을 때 할리우드는 상상력과 창의력 빈곤 상태에 빠졌다. 관객은 관객대로 전쟁(영화) 피로증에 걸렸다. 이 두 요인이 결합해 한국전 영화 불모 상태를 만들었다.”

스티븐 길론 오클라호마 대학 교수의 분석은 전쟁 특성에 초점을 맞춘다. 한국전쟁이 끝났을 때 진 것은 아니지만 성대한 승전 퍼레이드도, 나쁜 놈들을 패배시켰다는 승리감도 없었다. 2차대전을 승리로 이끈 미국 관객은 한국전쟁보다 2차대전에 더욱 끌렸다. 베트남전도 한국전쟁을 가려버렸다. 특히 전례 없는 반전운동 확산으로 베트남전은 미국 사회의 거대 이슈로 떠올랐다. 한국전쟁은 두 전쟁 사이에 낀 ‘잊혀진 전쟁’이 됐다.

할리우드가 한국전쟁 영화를 기피한 이유로 한국전쟁이 끝난 후 상당 기간 피폐하고 침체된 한국의 경제 및 문화 상황 탓에 한국전에 관한 영화를 만들기 위한 한국(영화업계)의 협조가 어려웠다는 점도 들 수 있다. 이제 상황이 많이 변화된 만큼 국내에서건 할리우드에서건 제대로 된 한국전쟁 영화가 만들어지기를 기대한다. 단 국내의 경우 감상적 민족주의는 철저히 배제돼야 한다.

김상온(프리랜서 영화라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