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분위기 쇄신하려면 내각도 새 진용으로 바꿔야

입력 2016-05-15 19:31
박근혜 대통령이 15일 대통령 비서실장을 포함한 청와대 참모진을 일부 개편했다. 뜻밖의 인사다. 그동안 박 대통령이 여러 차례 국면전환용 인사는 없다고 밝혀온 터였기 때문이다. 그랬던 박 대통령이 5·13 청와대 회동 직후 인사를 단행한 것은 지금까지와는 다른 변화된 모습을 보여주려는 의미로 해석된다. 이번 청와대 개편은 여당의 참패로 끝난 4·13 총선 후속조치라는 점에서 앞으로 대통령의 인사 방향을 가늠하는 척도라 할 수 있다.

개편 내용을 보면 두 가지 의도가 엿보인다. 박 대통령의 약점으로 지적돼온 소통과 또 하나는 국정의 핵심 의제가 된 경제에 올인하겠다는 뜻이 담겨 있다. 사의를 표명한 이병기 비서실장 후임으로 충북지사 출신의 이원종 지역발전위원회 위원장을 임명한 게 전자의 경우라면 안종범 청와대 경제수석을 정책조정수석에, 경제통인 강석훈 새누리당 의원을 경제수석에 기용한 것은 후자에 해당한다 하겠다.

신임 이 비서실장의 최대 장점은 풍부한 행정 경험을 갖고 있고 야당에서도 큰 거부감이 없다는 것이다. 박 대통령은 레임덕에 흔들릴 수 있는 청와대의 중심을 잡고, 이를 바탕으로 대통령과 의회 권력을 장악한 야당과의 가교 역할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그에게 기대하고 있는 듯하다. 김성우 청와대 홍보수석의 인선 배경 설명에 대통령의 뜻이 그대로 나타나 있다. 김 수석은 이 비서실장 기용에 대해 “친화력과 신망이 있는 분으로 대통령을 원활히 보좌해 국민 소통과 국가 발전에 기여해 나갈 적임자”라고 강조했다.

이에 비해 안, 강 두 수석의 기용은 회전문인사, 보은인사 시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두 사람 모두 18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서 활동한 대표적 친박이다. 특히 새누리당 공천에서 낙천한 강 의원을 19대 국회 임기가 끝나기도 전에 청와대로 불러들인 건 성급한 느낌이 든다. 박 대통령 인사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돼온 제한된 인재풀이 이번에도 어김없이 되풀이됐다. 이번 청와대 개편으로 분위기 쇄신을 기대했다면 한참 미흡하다. 이러니 더불어민주당에서 “총선 민의와는 거리가 먼 인사” “경제정책 등 국정 기조에 대한 변화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등의 비판이 나오는 거다.

보다 과감한 혁신이 필요하다. 개각도 더 이상 미룰 일이 아니다. 살인 가습기 살균제 사고에 대한 미숙한 대처로 윤성규 환경부 장관이 야권과 여론의 거센 사퇴 압력을 받고 있는 마당이다. 이것 말고도 개각 요인은 충분하다. 청와대를 개편하면서 내각 인사를 하지 않으면 이번 인적 쇄신 의미는 반감될 수밖에 없다. 새로운 각오로 새 출발할 요량이면 내각도 새 진용을 갖추는 게 바람직하다. 그것이 20대 총선의 민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