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지금의 한수원으로 원전 안전 확보할 수 있을까

입력 2014-12-29 02:17 수정 2014-12-29 09:27
한국수력원자력에 바람 잘 날이 없다. 숱한 원전비리 등 임직원들의 도덕적 해이와 원전 내부 자료 유출에 이어 이번엔 울산 울주군 신고리원전 3호기 공사 현장에서 가스 누출로 근로자 3명이 숨지는 인명사고까지 발생했다. 한수원을 바라보는 국민의 불안감과 불신이 날로 커지고 있다.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례에서 보듯 원전사고는 끔찍한 재앙으로 이어질 수 있다. 때문에 원전은 그 어떤 시설보다 안전하게 건설해야 한다.

울산고용노동지청이 신고리원전 3·4호기에 대해 전면 작업중지 명령을 내린 것은 당연하다. 신고리원전 3호기 밸브룸에서 질소가스가 누출된 원인을 정확히 밝혀내기 전까지 정밀 안전진단은 필수다. 내년 6월로 예정된 신고리원전의 상업운전이 지연되는 한이 있더라도 부실의 싹을 원천에서 잘라내야 한다.

이 사고가 사이버 테러로 한수원이 비상체제로 전환한 가운데 발생했다는 점에서 한수원의 안전불감증은 도를 넘어섰다. 그럼에도 한수원은 가동 중인 원전에서 발생한 사고가 아니라 원전 안전에는 아무 문제가 없다는 자세로 일관하고 있다. 이 같은 안일한 대응으로 국민들을 안심시킬 수 있을지 의문이다. 정확한 원인을 찾아내 후진국형 인재가 재발되지 않도록 각오를 새로 다져야 한다.

원전 안전을 위협하는 또 다른 요소인 사이버 테러는 아직도 현재진행형이다. 조석 한수원 사장은 28일 기자간담회에서 “현재도 원전에 대한 사이버 공격이 계속되고 있다”며 “하지만 방어 조치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원전 운영에는 전혀 영향이 없다”고 장담했다. 사고 날 가능성은 100% 없다는 게 조 사장의 말이다.

당연히 그래야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한수원의 언행으로 볼 때 전적으로 신뢰할 수 없다는 게 문제다. 한수원에 대한 불신은 원전 자체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질 수 있다. 원전 비중을 29%까지 확대하고 현재 추진 중인 11기 외에 2035년까지 원전 7기를 추가 건설하려는 중장기 에너지 기본계획을 차질 없이 완수하려면 무엇보다 한수원이 환골탈태하지 않으면 안 된다.

▶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