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사업 조사평가위원회(조사위)가 4대강 16개 보(洑)의 일부 부실을 지적한 데 따라 정부가 대책 마련에 나섰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23일 “조사위가 지적한 사안에 대해선 웬만하면 모두 대안을 마련할 계획”이라며 “조사결과를 오늘 받았기 때문에 앞으로 어떤 조치를 취할지는 좀 더 다각적으로 검토해 봐야 한다”고 말했다.
일단 국토부는 16개 보 수문의 손상 상태에 대해 전면 재점검할 계획이다. 관리가 제대로 안 될 경우 내구수명이 저하될 수 있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점검 결과를 바탕으로 체계적인 관리체계를 마련하고, 현재 4개 보(강천·이포·합천창녕·백제)에만 시범운영 중인 ‘수문 이상징후 감시 시스템’도 모든 보에 확대해 모니터링하기로 했다. 수문의 유지관리 체계도 마련할 계획이다. 조사위는 “수문 고장으로 인해 수문이 개방되지 않을 경우 수위가 다소 높아질 수 있기 때문에 수문 유지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물받이공에서 누수·용출 현상이 발견된 6개 보(구미·달성·합천창녕·창녕함안·공주·백제)에 대해선 지반조사를 세부적으로 실시한 뒤 보강대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달성보와 합천창녕보는 홍수가 발생할 경우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대안을 고민 중이다. 일부 저수지에서 둑 높이기 사업 중 변형과 균열이 확인됨에 따라 세부조사를 실시한 뒤 보강대책을 세울 계획이다.
하상세굴에 대한 대책도 마련키로 했다. 하상세굴이란 보 수문을 통과하는 빠른 유속의 흐름으로 인해 하천바닥이 파이는 현상이다. 창녕함안보와 합천창녕보는 하루에 20m 이상의 대규모 세굴이 발생해 보강공사를 시행했지만 올해 추가 세굴이 발견된 바 있다.세종=이용상 기자
▶ 관련기사 보기◀
[4대강 사업 평가] 국토부, 洑 수문 전면 재검토키로
입력 2014-12-24 02:20 수정 2014-12-24 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