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에 기술금융 바람이 불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이 창조경제를 강조하며 금융권 보신주의를 지적한 이후 시중은행들의 기술금융 상품 취급이 늘고 있다. 기술금융의 핵심이 기술평가 능력인 만큼 평가 인프라 확충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23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7월부터 10월까지 취급된 기술신용 대출 건수는 6235건, 금액은 3조5900억원에 달했다. 7월 486건, 8월 1024건에 이어 9월 1677건, 10월 3048건으로 매월 가파르게 상승했다. 금융 당국이 지난 12일 기술금융 실적을 은행 평가와 은행장 등 임직원 성과보상 평가에 반영키로 함에 따라 기술금융은 더 확산될 전망이다.
시중은행들은 한목소리로 “기술금융의 방향이 맞다”고 말한다. 문제는 기술평가다. 급하게 기술평가를 위한 조직을 꾸렸지만 하루아침에 평가 능력을 최고조로 끌어올리기는 어렵다. 대안으로 시중은행들은 독자적 기술평가와 함께 기술보증기금 등의 기술평가 결과를 대출에 적극 활용한다.
TCB는 개인이나 기업이 가진 아이디어와 기술의 가치를 평가하고 금융권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기관으로 현재 기술보증기금, 한국기업데이터, 나이스평가정보 등 3곳이 참여하고 있다.
특히 오래전부터 기술보증을 해온 기계·정보통신·전기전자 등 전공분야별 박사급 인력 140여명을 포함한 540여명의 기술평가 인력을 갖추고 있다. 약 44만건의 기술평가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분석하는 자체 평가 모델은 10년째 운용 중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당장은 당국이 기술금융을 채근하는 모습이지만 금융권도 서둘러 자체 기술평가 역량을 강화할 때가 됐다고 본다”고 말했다.
박은애 기자 limitless@kmib.co.kr
금융권 기술신용대출 러시
입력 2014-11-24 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