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후핵연료 영구처분 시설 2055년까지 건설해야”… 사용후핵연료 공론화委, 제안

입력 2014-11-19 02:21
사용후 핵연료 공론화위원회가 사용후 핵연료를 영구히 묻어 놓을 영구처분 시설을 2055년 즈음까지는 세워야 한다고 제안했다. 사용후 핵연료란 원전에서 나온 폐연료봉을 뜻한다. 그러나 사용후 핵연료를 ‘영구처분’해야 한다는 처리 방향이 제시됐을 뿐이어서 앞으로 어디에 어떻게 저장할지 등을 놓고 진통이 예상된다.

공론화위원회 홍두승 위원장은 1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그간 수렴한 의견 등을 종합한 ‘사용후 핵연료 관리를 위한 의제’를 발표했다. 지난해 10월 출범한 이 위원회는 폐연료봉 관리 방안에 대한 국민적 의견을 수렴해 정부에 권고안을 제시할 계획으로 그간 시민·국회·전문가집단 등을 대상으로 여론 수렴 과정을 거쳐 왔다. 현재 사용후 핵연료는 각 원전 부지 내에 있는 임시저장 시설에 담겨 있는데 이 시설들은 2016년부터 단계적 포화상태에 이를 전망이다.

홍 위원장은 “전문가 의견을 수렴한 결과 시운전 기간 등을 따져볼 때 2050∼2060년에는 영구처분 시설이 건립돼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시설 공사를 2045년에는 시작해야한다”고 덧붙였다. 사용후 핵연료를 영구처분한다는 것은 지하 500m 이하의 깊은 곳에 폐연료봉을 묻어 완전히 격리시키는 조치를 뜻한다. 위원회는 영구처분 전 임시 저장할 수 있는 저장시설도 설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폐연료봉보다 위험성이 낮은 핵폐기물 처리 시설인 경주 방폐장 설립도 부지 선정을 놓고 주민들과의 갈등으로 20년 가까이 시일을 끌었던 점에 비춰볼 때 폐연료봉 영구처분 시설 설립은 향후 극심한 진통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