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교육청이 자율형사립고의 단계적 폐지 수순을 예고한 가운데 서울자사고교장연합회(연합회)가 21일 반대 기자회견을 열었다. 연합회는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의 자사고 일반고 전환정책을 “포퓰리즘”이라고 비판하며 대립각을 세웠다.
서울 지역 25개 자사고 교장들로 구성된 연합회는 서울 중구 프레지던트호텔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자사고 폐지·축소 정책은 정치 진영 논리에 입각한 포퓰리즘”이라며 “교육청이 예산과 교과과정 자율권이라는 당근으로 또 다른 ‘서열화’ 정책을 펴고 있다”고 반대 의사를 밝혔다. 앞서 시교육청은 일반고로 자진 전환하는 자사고에 최대 14억원을 지원하겠다는 방안을 내놓은 바 있다.
연합회는 조 교육감 취임 이후 실시된 자사고 2차 평가 결과를 수용할 수 없다는 방침도 재확인했다. 연합회 측은 2차 평가 때 실시된 ‘공교육 영향평가’ 3개 문항을 공개했다. ‘공교육 영향평가’에는 ‘자율형사립고를 지정 취소하고 일반고로 전환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라는 항목이 포함됐다. 이 항목은 일반고 교사·학부모·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것이다. 연합회장인 배재고 김용복 회장은 “일반고에 자사고 존폐를 묻는 어처구니없는 발상”이라고 비난했다.
당초 학생 모집에 어려움을 겪는 비인기 자사고는 일반고 전환을 희망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왔지만, 연합회 측은 자사고 25개교가 공동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기자회견에 앞서 25개 교장들이 모인 비공개 회의에서도 일반고 전환 의사를 밝힌 학교는 없었다. 한 자사고 교장은 “교장 혼자 결정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법인과 상의한 결과를 토대로 회의에 반영했다”고 밝혔다. 사실상 전체 자사고가 일반고 전환을 거부한 셈이다.
연합회는 다음 달 13일로 예정된 시교육청의 자사고 재지정 발표를 지켜본 뒤 법적 대응에 나설 방침이다. 특히 재지정 취소 근거가 ‘2차 평가’일 경우 강경 대응하겠다는 입장이다. 연합회 측은 “지정 취소 처분이 내려지면 효력정지가처분신청과 행정소송 등을 불사하겠다”며 “한 분(조 교육감)에 대한 고발 조치도 심사숙고한 뒤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
“자사고 폐지는 포퓰리즘… 25개교 모두 일반고 거부”
입력 2014-07-22 02:42